경쟁자 없이 시장 지배하는 '창조적 독점' 제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로 투 원' 어떤 책 인가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는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제각각의 이유로 불행하다”는 통찰로 시작한다.
피터 틸은 자신의 베스트셀러 ‘제로 투 원’(한국경제신문사 펴냄)에서 “비즈니스는 정반대”라고 말한다. “행복한 기업은 모두 다르다. 저마다 독특한 문제를 해결해 독점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실패한 기업은 한결같다. 경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저자는 ‘독점은 시장경제에 해롭다’는 주장을 반박한다. 완전경쟁 시장에서 모든 회사는 차별화되지 않는 똑같은 제품을 판매한다. 시장 지배력을 가진 회사가 없기 때문에 시장이 정해주는 가격에 물건을 판다. 수익성이 남아 있다면 새로운 회사가 시장에 진입해 공급량을 늘리고 가격을 끌어내린다. 장기적으로 완전경쟁 시장에선 어떤 회사도 이윤을 창출할 수 없다.
독점은 반대다. 독점 기업이 시장을 손에 쥐고 가격을 결정한다. 경쟁자가 없기 때문에 이윤을 극대화하는 수량과 가격으로 물건을 생산한다. 저자가 말하는 독점 기업은 자기 분야에서 너무 뛰어나 다른 회사가 감히 비슷한 제품조차 내놓지 못하는 곳을 뜻한다. 이런 ‘창조적 독점 기업’은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풍요로움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한다.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도 한다. 독점 이윤을 누릴 수 있다는 희망은 기업 혁신을 위한 강력한 동기가 된다.
대표적인 예가 구글이다. 구글은 2000년대 초반 이후 검색 분야에서 경쟁자가 없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야후를 크게 따돌렸다. 구글은 검색 부문의 독점을 바탕으로 모바일, 웨어러블, 무인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 기업의 표준이 됐다.
독점 기업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틸은 이미 존재하는 사업을 따라 하면 제2, 제3이 될 뿐이라며 아무것도 없는 제로(0) 상태에서 완전히 새로운 시장을 창조해 독점(1)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래서 책 제목도 ‘제로(0) 투(to) 원(1)’이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
피터 틸은 자신의 베스트셀러 ‘제로 투 원’(한국경제신문사 펴냄)에서 “비즈니스는 정반대”라고 말한다. “행복한 기업은 모두 다르다. 저마다 독특한 문제를 해결해 독점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실패한 기업은 한결같다. 경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저자는 ‘독점은 시장경제에 해롭다’는 주장을 반박한다. 완전경쟁 시장에서 모든 회사는 차별화되지 않는 똑같은 제품을 판매한다. 시장 지배력을 가진 회사가 없기 때문에 시장이 정해주는 가격에 물건을 판다. 수익성이 남아 있다면 새로운 회사가 시장에 진입해 공급량을 늘리고 가격을 끌어내린다. 장기적으로 완전경쟁 시장에선 어떤 회사도 이윤을 창출할 수 없다.
독점은 반대다. 독점 기업이 시장을 손에 쥐고 가격을 결정한다. 경쟁자가 없기 때문에 이윤을 극대화하는 수량과 가격으로 물건을 생산한다. 저자가 말하는 독점 기업은 자기 분야에서 너무 뛰어나 다른 회사가 감히 비슷한 제품조차 내놓지 못하는 곳을 뜻한다. 이런 ‘창조적 독점 기업’은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풍요로움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한다.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도 한다. 독점 이윤을 누릴 수 있다는 희망은 기업 혁신을 위한 강력한 동기가 된다.
대표적인 예가 구글이다. 구글은 2000년대 초반 이후 검색 분야에서 경쟁자가 없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야후를 크게 따돌렸다. 구글은 검색 부문의 독점을 바탕으로 모바일, 웨어러블, 무인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 기업의 표준이 됐다.
독점 기업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틸은 이미 존재하는 사업을 따라 하면 제2, 제3이 될 뿐이라며 아무것도 없는 제로(0) 상태에서 완전히 새로운 시장을 창조해 독점(1)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래서 책 제목도 ‘제로(0) 투(to) 원(1)’이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