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장년세대는 갈수록 생활수준이 떨어지고 연금생활자들은 상대적으로 풍요를 누리는 만큼 청장년층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이 23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자체 조사 결과 평균 연금생활자들이 급속한 소득 증가를 누리지만 청장년세대는 지난 35년 동안 상대적인 풍요의 자리에서 보통을 훨씬 밑도는 쪽으로 밀려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20세기 대부분에서 평균 이상의 생활수준을 누린 청장년 세대가 최근 수십 년간 이뤄진 가장 극적인 세대 변화로 인해 자신들의 자리를 연금생활자들에게 넘겼다는 지적이다.

FT에 따르면 1960년대와 70년대에 인플레이션과 실업이라는 시련을 겪기도 했지만 그동안 20~25세 사이 연령층은 주거비를 제외한 자신들의 평균 소득만으로 전체 인구의 최소 60%보다 생활 형편이 나았다.

하지만, 침체가 이어지면서 이제 보통 청장년 세대보다 생활수준이 낮은 층은 전 인구의 37% 수준에 그치게 됐다. 반면 평균 65~70세 연령층은 생활수준이 과거 영국 가구의 하위 25% 이내에 들었지만 이제 거의 상위 40%에 들게 됐다.

특히 행운이 있는 세대는 1940년대생으로, 청장년 시절 상대적으로 부유했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부유한 층으로 남아 있다. 반대로 1980년대와 90년대생은 이런 상황에서 탈락했고 점점 더 불확실성에 놓이게 됐다.

FT는 세대 간 격차는 최근 수십 년간에 이뤄진 집값 상승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다수의 나이 든 사람들은 집을 싸게 살 수 있었고 의미 있는 수입도 건질수 있었지만 청장년 세대는 그런 행운을 누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