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에서 특강하는 황우여 부총리.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502/AA.9634809.1.jpg)
이는 장기인력수급전망에 맞춰 인문대와 사범대 정원을 대폭 줄이겠다던 올해초 교육부 업무계획 발표와 다른 내용이어서 주목된다. 교육부는 학령인구 급감에 대비하기 위해 대학 입학 정원을 2023년까지 16만명가량 줄이는 ‘대학 구조개혁 추진계획’을 추진해 왔다.
황 부총리는 대학 구조개혁이 수도권과 지방대의 서열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에는 “상대평가로 서열화하는 것은 위험하다. 평가는 미래 지향적으로 절대적인 기준으로 하고 정책과 재정 수단을 분리하려고 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지방대는 특성화해야 한다. 특성 있는 대학이 되면 교육부는 수도권대와 지방대를 차별 없이 지원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대학생들의 학비와 대출 부담을 줄여야 한다”며 “직장을 가진 뒤 갚는 학자금 대출의 이자가 연 2%대까지 떨어졌지만 나중에 재정이 확보되면 더 낮추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부총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절대평가 논의에 대해 “영어를 절대평가로 하는 것은 옳다고 생각한다”며 “학생이 한 명이라도 낙오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교육의 방향”이라는 소신을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기업이 대졸 신입사원을 재교육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그동안 교육은 우리 사회에서 어떤 학생, 어떤 사람을 요구하느냐를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학이나 고등학교에 들어갈 때 일자리를 걱정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것이 성공하면 선진국처럼 취업률이 80%, 90% 나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