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와 자동차업계, 대학이 차세대 자동주행차의 기술과 부품 공동 개발에 나선다. 글로벌 자동주행차 개발 경쟁에서 미국과 유럽에 뒤처진 일본이 ‘산(産)·학(學)·정(政) 연합전선’을 구축하려는 것이란 분석이다.

2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과 국토교통성은 도요타 혼다 등 자동차 대기업과 파나소닉, 히타치제작소 등 부품업체들이 참가하는 자동주행차 공동 개발 검토회를 조만간 열 계획이다. 주행 중 위험을 감지하는 센서기술과 운전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일부를 공동으로 개발해 비용을 줄이고 관련 부품의 공통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다.

일본 정부는 도쿄대 나고야대 등 대학도 참여시켜 공동 연구 거점을 설치하고 산업경쟁력 강화와 국제표준 제정도 지원할 계획이다. 제조업체와 대학의 공동 연구 거점에는 고속도로를 본뜬 시험코스도 마련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자동차 부품 최대 업체인 독일 보쉬가 자동주행 센서를 미국과 유럽 자동차업체에 납품하는 등 기술과 부품 생산에서 일본 업체가 독일 등에 비해 열세인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자동주행차 보급에는 도로 등 인프라 정비도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차량 정체와 사고 정보를 자동차에 전달하는 도로시스템도 민·관이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 검토회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확정해 자동주행차를 오는 6월 발표할 국가 성장전략의 핵심으로 반영할 방침이다.

도쿄=서정환 특파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