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의 경제 키워드 '두툼한 지갑론'…"가계소득 늘어야 소비 늘고 경제 성장"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핵심 경제 철학은 ‘두툼한 지갑론’이다. 문 대표는 26일 한국경제신문 등 경제지와의 공동 인터뷰에서 “중산층과 서민의 지갑이 두툼해지면 그만큼 소비가 확대되고, 내수가 살고 일자리가 늘어나 다시 소득으로 돌아오는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대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 투자가 확대되면 경제가 활성화돼 서민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낙수효과 이론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게 확인됐다”며 “그런데도 정부가 기존의 패러다임을 고수하니 경제 정책이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에 대한 대안이 소득 주도 성장이며, 대중적인 표현으로 ‘두툼한 지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경환 부총리도 취임하면서 소득 주도 성장을 말한 적이 있지만 전혀 실천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문 대표는 당 대표 취임 전 소득 주도 성장을 위해 △생활소득을 높여 국민 기본소득 보장 △비정규직, 자영업자 등 1000만 워킹 푸어 차별 해소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제도화 △부자감세 철회를 통한 복지 재원 마련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확충 등을 경제 구상의 뼈대로 제시한 바 있다.

문 대표는 취임 이후 “백 마리 토끼 잡기가 당이 가야 할 길”이라며 ‘집토끼’ ‘산토끼’로 상징되는 진보-중도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유능한 경제정당’을 만들기 위한 행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날 인터뷰에서도 “정당의 목표인 집권을 하려면 경제에 관한 능력을 가져야 한다”며 “지난 대선의 시대정신이 경제민주화와 복지국가였다면 이번에는 이를 더 심화시켜 성장·복지·고용이 선순환하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만드는 것까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