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10년째 100개에 맴도는 벤처캐피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자금 대형업체에 편중
창업보다 대형社로 이직
창업보다 대형社로 이직
▶마켓인사이트 3월2일 오전 8시11분
설립 3년차 창업투자회사(벤처캐피털)인 A사는 정부의 벤처자금을 지원받는 ‘벤처펀드 운용사 선정’에 다섯 번째 도전하고 있다. 지난 네 차례 심사에서 모두 1차 관문(서류심사)도 넘지 못했다. 신생 회사인 까닭에 투자 실적이 부족해 정량평가에서 최저점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부 자금 지원 여부가 이처럼 실적에 따라 결정되면서 벤처캐피털업계에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정부의 벤처 육성 자금이 오래된 대형 업체에 집중돼 돈을 받지 못하는 신생 벤처캐피털은 문을 닫는 사례가 늘고 있다.
벤처캐피털이 운용하는 펀드 규모가 12조2522억원으로 10년 전보다 세 배 늘었지만, 중소기업청에 등록된 벤처캐피털은 작년 말 현재 104개로 2004년 105개보다 오히려 감소했다. 정부의 모태펀드 출자금 1조9748억원 중 절반가량이 상위 20% 업체에 몰릴 정도로 실적이 없는 신생 업체는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벤처업계 한 관계자는 “작년에 벤처 육성을 위해 조성된 각종 정부 자금이 유입된 벤처펀드 규모가 사상 최대인 2조5382억원에 달할 정도로 커졌다”며 “그러나 자금 배분 방식은 변화가 없는 등 벤처를 키우겠다는 정부에 벤처 정신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 자금, 벤처캐피털 104곳 중 20곳에 절반 몰려
▶마켓인사이트 3월2일 오전 9시15분
벤처자금 규모 증가에 맞물려 벤처캐피털 수가 늘어나지 않는 원인은 자금의 ‘쏠림현상’에 있다. 한국경제신문의 분석 결과 현재 한국벤처투자의 모태펀드로부터 자금을 출자받은 운용사는 총 88개. 이 중 상위 운용사 20개가 받은 출자금은 전체의 50%에 육박했다. 전체 벤처캐피털 104개 중 16개는 정부 출자금을 한푼도 받지 못했다.
바이오 분야 전문 벤처캐피털을 창업하기로 마음먹었다가 접은 20년차 벤처캐피털리스트는 “벤처거품이 꺼진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정부 자금이 들어와야 민간자금도 투자되는 게 거의 정석처럼 굳어졌다”며 “따라서 정부의 벤처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자격을 취득하는 게 벤처캐피털의 생존을 위한 절대적 조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결과 업계의 유능한 인재들도 신생 벤처캐피털을 ‘창업’하기보다는 대형 벤처캐피털에 이직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신생회사는 창업을 해봐야 쌓아놓은 실적이 없어 정부자금을 받지 못하고 금방 문을 닫아야 하기 때문이다.
모태펀드 산업은행 등 벤처펀드에 정부 자금을 지원하는 출자자들은 수익을 내는 게 중요한 출자기준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력 검증이 안된 신생업체보다는 경험이 풍부한 곳에 돈을 줘야 이익을 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손해가 발생할 경우 책임추궁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위험보다는 안전을 택하려는 속내도 깔려 있다는 지적이다. 한 출자기관 관계자는 “출자금은 세금으로 조성된 만큼 손실회피 역시 중요한 요소”라며 “실적이 좋은 회사에 출자해야 혹시 문제가 생겨 내부감사를 받더라도 책임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오동혁 기자 otto83@hankyung.com
설립 3년차 창업투자회사(벤처캐피털)인 A사는 정부의 벤처자금을 지원받는 ‘벤처펀드 운용사 선정’에 다섯 번째 도전하고 있다. 지난 네 차례 심사에서 모두 1차 관문(서류심사)도 넘지 못했다. 신생 회사인 까닭에 투자 실적이 부족해 정량평가에서 최저점을 받았기 때문이다.
정부 자금 지원 여부가 이처럼 실적에 따라 결정되면서 벤처캐피털업계에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정부의 벤처 육성 자금이 오래된 대형 업체에 집중돼 돈을 받지 못하는 신생 벤처캐피털은 문을 닫는 사례가 늘고 있다.
벤처캐피털이 운용하는 펀드 규모가 12조2522억원으로 10년 전보다 세 배 늘었지만, 중소기업청에 등록된 벤처캐피털은 작년 말 현재 104개로 2004년 105개보다 오히려 감소했다. 정부의 모태펀드 출자금 1조9748억원 중 절반가량이 상위 20% 업체에 몰릴 정도로 실적이 없는 신생 업체는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벤처업계 한 관계자는 “작년에 벤처 육성을 위해 조성된 각종 정부 자금이 유입된 벤처펀드 규모가 사상 최대인 2조5382억원에 달할 정도로 커졌다”며 “그러나 자금 배분 방식은 변화가 없는 등 벤처를 키우겠다는 정부에 벤처 정신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 자금, 벤처캐피털 104곳 중 20곳에 절반 몰려
▶마켓인사이트 3월2일 오전 9시15분
벤처자금 규모 증가에 맞물려 벤처캐피털 수가 늘어나지 않는 원인은 자금의 ‘쏠림현상’에 있다. 한국경제신문의 분석 결과 현재 한국벤처투자의 모태펀드로부터 자금을 출자받은 운용사는 총 88개. 이 중 상위 운용사 20개가 받은 출자금은 전체의 50%에 육박했다. 전체 벤처캐피털 104개 중 16개는 정부 출자금을 한푼도 받지 못했다.
바이오 분야 전문 벤처캐피털을 창업하기로 마음먹었다가 접은 20년차 벤처캐피털리스트는 “벤처거품이 꺼진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정부 자금이 들어와야 민간자금도 투자되는 게 거의 정석처럼 굳어졌다”며 “따라서 정부의 벤처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자격을 취득하는 게 벤처캐피털의 생존을 위한 절대적 조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결과 업계의 유능한 인재들도 신생 벤처캐피털을 ‘창업’하기보다는 대형 벤처캐피털에 이직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신생회사는 창업을 해봐야 쌓아놓은 실적이 없어 정부자금을 받지 못하고 금방 문을 닫아야 하기 때문이다.
모태펀드 산업은행 등 벤처펀드에 정부 자금을 지원하는 출자자들은 수익을 내는 게 중요한 출자기준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력 검증이 안된 신생업체보다는 경험이 풍부한 곳에 돈을 줘야 이익을 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손해가 발생할 경우 책임추궁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위험보다는 안전을 택하려는 속내도 깔려 있다는 지적이다. 한 출자기관 관계자는 “출자금은 세금으로 조성된 만큼 손실회피 역시 중요한 요소”라며 “실적이 좋은 회사에 출자해야 혹시 문제가 생겨 내부감사를 받더라도 책임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오동혁 기자 otto8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