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유래는 … 한 해의 풍요와 안녕을 기리는 정월대보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월5일(음력 1월15일)은 민족의 전통명절인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은 1월의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 새해를 맞아 처음 떠오르는 보름달을 보며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오래된 명절이다.
정월대보름은 오기일(한자), 상원(한자)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세시풍속 중 가장 비중이 큰 날이다.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는 속담이 있듯 예부터 이날은 온가족이 모여 달맞이를 하고, 시절음식을 해먹으며 쥐불놀이, 연날리기와 같은 민속놀이를 즐겼다.
달은 농경사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우리 선조들은 달이 액을 밀어내고 풍요와 희망을 가져온다고 믿었다.
민족의 큰 명절 중 하나인 정월대보름인 5일엔 경주, 청도, 대구 등 전국 각지에서 달집태우기 행사 등이 열린다.
한경닷컴 뉴스룸
정월대보름은 오기일(한자), 상원(한자)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세시풍속 중 가장 비중이 큰 날이다.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는 속담이 있듯 예부터 이날은 온가족이 모여 달맞이를 하고, 시절음식을 해먹으며 쥐불놀이, 연날리기와 같은 민속놀이를 즐겼다.
달은 농경사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우리 선조들은 달이 액을 밀어내고 풍요와 희망을 가져온다고 믿었다.
민족의 큰 명절 중 하나인 정월대보름인 5일엔 경주, 청도, 대구 등 전국 각지에서 달집태우기 행사 등이 열린다.
한경닷컴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