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많이 할수록 세금만 더 내…생산·저축 점점 기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복지 강화로 빈곤 해결이 힘든 이유
인간의 삶과 직결되는 경제 문제는 빈곤, 소득 불평등, 불안전성 등일 것이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빈곤이다. ‘백성은 밥을 하늘로 삼는다’는 속담은 빈곤이 가장 절실한 문제임을 시사한다.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시장원리이고, 다른 하나는 복지원리다.
시장원리란 기업가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저축한 자본을 투자하고 기술 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원리를 말한다. 노동자는 이때 자신의 힘으로 소득을 벌고 그 소득으로 자신의 자유·생명·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노동자가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기업가의 ‘이타적 동기’가 아니라 ‘이기적 동기’에 의해 창출된다는 것이다.
정부의 간섭이 없다면 이때 일자리는 효율적으로 창출될 뿐만 아니라 바로 그 이유로 가장 많이 창출된다. 그 결과 자신의 이익에 기초한 자발적 교환과 자유시장이 노동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교환에 기초한 자본주의적 생산이 빈곤을 퇴치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기적 동기에 의해 행해지는 기업가의 자본 투자와 기술 혁신에 의해 빈곤은 길들여지고 해결된다. 이것이 경제학의 시조라고 일컬어지는 애덤 스미스가 설명하고자 했던 진리다. 그 진리란 우리가 자신을 위해 일할 때 일반적으로 가장 남을 잘 돕게 된다는 것을 말한다.
정부는 일자리를 창출해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민간과 달리, 정부는 자원을 창출할 수 없고 언제나 민간으로부터 자원을 이전한다. 정부가 세금을 징수해 일자리를 창출하면 통상적으로 민간에서는 일자리가 그에 비례해 감소한다. 그러나 정부에 의한 일자리 창출은 일자리의 단순한 이전으로 그치지 않는다. 정부는 세금을 징수하는 데 비용을 쓸 뿐 아니라, 민간은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해 노력하거나 세금이 너무 많으면 노동시간이나 부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줄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부에 의한 일자리 순증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한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가보자. 만약 정부가 세금을 징수해 경제 무능력자에게 보조금, 소위 복지혜택을 준다고 가정해보자. 이것이 ‘강요된 자선’이다. 정부가 민간으로부터 세금을 징수해 복지 지출에 쓴다면 그만큼 일자리는 줄어들기 때문에 빈곤은 악화된다. 이것이 소위 복지원리다. 이 원리가 복지국가 체제가 장기적으로 작동할 수 없음을 증명하는 기초원리다.
복지원리에는 추가적인 문제가 있다. 첫째 정부 보조금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그런 경향은 사회 전체의 생산과 저축을 줄여 가난한 사람들을 예전보다 더 많이 만들어내게 된다. 복지혜택이 증가할수록 유능한 사람들의 일할 의욕을 꺾고 방해할 뿐 아니라 더 큰 관료조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복지혜택은 민간의 자선 욕구를 없애 버릴 수 있다. 국가가 세금 등으로 보조금을 주면 개인들은 더 이상 자선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북부 유럽의 사례를 보라.
셋째 만약 정부가 자원을 누구로부터 빼앗아 누구에게 줄 것인가를 결정한다면 자원을 빼앗긴 사람들은 ‘정치적 패자’가 되고 그 자원을 정부로부터 보조받는 사람들은 ‘정치적 승자’가 된다. 정치적 승자와 정치적 패자는 갈등 관계에 놓이기 쉽다. 복지혜택이 많아질수록 갈등 관계는 점점 더 깊어질 수 있다. 넷째 복지혜택으로 정부 관료의 권력 또는 힘은 증가한다. 다섯째 정부 보조금이 제도화되면 보조금 지원을 받는 사람들의 정신이 타락한다. 복지 부정 수급자를 생각해보라. 이런 타락은 무질서, 범법 등으로 가는 기초 토양을 제공한다. 한 마디로, 빈곤을 진정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고, 일자리는 복지원리가 아니라 시장원리에 의해 만들어진다.
시장원리란 기업가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저축한 자본을 투자하고 기술 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원리를 말한다. 노동자는 이때 자신의 힘으로 소득을 벌고 그 소득으로 자신의 자유·생명·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노동자가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기업가의 ‘이타적 동기’가 아니라 ‘이기적 동기’에 의해 창출된다는 것이다.
정부의 간섭이 없다면 이때 일자리는 효율적으로 창출될 뿐만 아니라 바로 그 이유로 가장 많이 창출된다. 그 결과 자신의 이익에 기초한 자발적 교환과 자유시장이 노동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교환에 기초한 자본주의적 생산이 빈곤을 퇴치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기적 동기에 의해 행해지는 기업가의 자본 투자와 기술 혁신에 의해 빈곤은 길들여지고 해결된다. 이것이 경제학의 시조라고 일컬어지는 애덤 스미스가 설명하고자 했던 진리다. 그 진리란 우리가 자신을 위해 일할 때 일반적으로 가장 남을 잘 돕게 된다는 것을 말한다.
정부는 일자리를 창출해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민간과 달리, 정부는 자원을 창출할 수 없고 언제나 민간으로부터 자원을 이전한다. 정부가 세금을 징수해 일자리를 창출하면 통상적으로 민간에서는 일자리가 그에 비례해 감소한다. 그러나 정부에 의한 일자리 창출은 일자리의 단순한 이전으로 그치지 않는다. 정부는 세금을 징수하는 데 비용을 쓸 뿐 아니라, 민간은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해 노력하거나 세금이 너무 많으면 노동시간이나 부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줄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부에 의한 일자리 순증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한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가보자. 만약 정부가 세금을 징수해 경제 무능력자에게 보조금, 소위 복지혜택을 준다고 가정해보자. 이것이 ‘강요된 자선’이다. 정부가 민간으로부터 세금을 징수해 복지 지출에 쓴다면 그만큼 일자리는 줄어들기 때문에 빈곤은 악화된다. 이것이 소위 복지원리다. 이 원리가 복지국가 체제가 장기적으로 작동할 수 없음을 증명하는 기초원리다.
복지원리에는 추가적인 문제가 있다. 첫째 정부 보조금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그런 경향은 사회 전체의 생산과 저축을 줄여 가난한 사람들을 예전보다 더 많이 만들어내게 된다. 복지혜택이 증가할수록 유능한 사람들의 일할 의욕을 꺾고 방해할 뿐 아니라 더 큰 관료조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복지혜택은 민간의 자선 욕구를 없애 버릴 수 있다. 국가가 세금 등으로 보조금을 주면 개인들은 더 이상 자선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북부 유럽의 사례를 보라.
셋째 만약 정부가 자원을 누구로부터 빼앗아 누구에게 줄 것인가를 결정한다면 자원을 빼앗긴 사람들은 ‘정치적 패자’가 되고 그 자원을 정부로부터 보조받는 사람들은 ‘정치적 승자’가 된다. 정치적 승자와 정치적 패자는 갈등 관계에 놓이기 쉽다. 복지혜택이 많아질수록 갈등 관계는 점점 더 깊어질 수 있다. 넷째 복지혜택으로 정부 관료의 권력 또는 힘은 증가한다. 다섯째 정부 보조금이 제도화되면 보조금 지원을 받는 사람들의 정신이 타락한다. 복지 부정 수급자를 생각해보라. 이런 타락은 무질서, 범법 등으로 가는 기초 토양을 제공한다. 한 마디로, 빈곤을 진정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고, 일자리는 복지원리가 아니라 시장원리에 의해 만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