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계 99% 공정률…아파트 1만9400가구 최대 단지
분양시장 활기…도로·공원 등 인프라도 속속 마무리
21년 걸린 지방 최대 신도시
정부는 1990년대 초 부산권 개발 계획의 하나로 부산 북구·금정구와 인접한 양산에 대규모 신도시를 조성하기로 했다. 부산의 심각한 주택난을 해결하고 주변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였다. 신도시 대상지는 경남 양산시 중부동, 남부동, 교동, 물금읍, 동면 일대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1994년 약 1067만㎡ 규모의 양산 물금택지지구 개발에 나섰다. 당시 양산신도시는 경기 분당(2300만㎡)과 일산신도시(1570만㎡)보다 작지만 지방 신도시에서는 가장 큰 규모였다.
지방 최대 신도시인 만큼 LH는 전체 부지를 3단계로 나눠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전체 사업비는 보상비 6740억원을 포함해 3조12억원에 이른다.
신도시는 거의 완공 단계다. 1단계(228만여㎡)와 2단계(318만여㎡) 사업은 2004년과 2009년 각각 준공했다. 3단계(521만여㎡)는 99%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도로 확장, 지하차도 건설, 공원 조성 등 일부 공사가 남아 있다. 3단계까지 마무리되면 아파트 55개 단지 4만9000여가구(주상복합 1354가구), 단독주택 3400가구 등 총 5만2400여가구에 15만2000여명이 거주하는 중소형 도시로 거듭난다.
연약지반 등 난관 극복
정부는 양산신도시를 1994년 착공해 2000년 완공하는 청사진을 내놨다. 하지만 준공 시기는 당초 계획과는 다르게 올해 말께로 15년가량 늦춰졌다. 그 사이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다.
우선 연약지반이 문제였다. 택지지구 지정 때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대상 지구에 대한 정밀지질조사를 하지 않아서 생긴 문제다. 한때 시간과 비용 부담으로 신도시 백지화 논란까지 뜨거웠다. 사업 주체인 LH는 연약지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지를 여러 공구로 나눴다. 1공구의 연약처리에 사용된 토사(흙)를 2공구로, 2공구에 사용된 토사를 3공구로 옮겨가는 방식으로 공사를 진행했다.
외환위기에 따른 경기 침체와 부동산 시장 동반 부진도 사업 추진의 발목을 잡았다. 부동산 시장이 급랭하면서 5년간 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했다. 일부 건설사가 상가 아파트 등의 건설을 포기하는 일도 벌어졌다. 인기 주거지역으로 탈바꿈
양산시청과 인접한 1단계 지역에는 2003년까지 아파트 1만2400여가구가 들어섰다. 이마트 양산시보건소 삽량초등학교와 부산지하철 2호선 양산역 등이 자리 잡고 있다.
2단계는 양산천 서쪽의 2-1공구와 동쪽 2-2공구로 나뉜다.
아파트 가구 수는 총 1만7060여가구(2-1공구 9885가구, 2-2공구 7180가구)다. 2-1공구 남쪽으로 부산대 양산캠퍼스와 붙어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때 ‘분양시장의 무덤’으로 불렸지만 우미건설 반도건설 동원개발 등 중견업체가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실수요자를 찾았다.
부산대 양산캠퍼스 남서쪽 3단계 지역에는 아파트 1만9400여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3개 권역 중 규모가 가장 크다. 2011년 이후 부산·경남권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기 시작하면서 분양도 늘어나고 있다.
2012년 이후 아파트 분양가격은 상승세를 타고 있다. 전용 59㎡의 3.3㎡당 매매가격은 700만원대 중후반까지 반등했다. 전용 84㎡는 800만원을 웃돌고 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