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암·창동·상계, 창조경제 중심지…마포석유기지·노들섬, 문화 기지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4년간 2조3000억 투입 27곳 도시재생
철거 대신 기존 건물·지형 살려
세운상가·G밸리·장안평 일대 낙후 산업지역 개발 624억 투입
백사마을·해방촌 등 노후주거지 임대주택 매입 등 1조31억 지원
철거 대신 기존 건물·지형 살려
세운상가·G밸리·장안평 일대 낙후 산업지역 개발 624억 투입
백사마을·해방촌 등 노후주거지 임대주택 매입 등 1조31억 지원
서울시가 9일 내놓은 ‘도시재생 종합계획’은 기존 건축물을 대대적으로 철거한 뒤 다시 짓는 방식이 아니라 지역별 특성을 살릴 수 있게 맞춤형으로 정비사업을 하는 게 핵심이다. 민관 협력 체제를 구축해 계획부터 실행에 이르는 전 과정에 주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종전과 차이 난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다양한 재생사업을 추진했지만 서울의 기존 자산과 미래에 대한 고민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며 “이번 계획에선 지역별 정체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식을 도입했다”고 말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재생 대상 지역 27곳은 네 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쇠퇴한 산업지역 중 도시재생이 필요한 곳으로 세운상가, G-밸리, 장안평 일대 등 세 곳이 선정됐다. 이들 지역은 한때 지역 성장을 이끌었지만 활력이 떨어져 기존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활로를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이들 지역의 산업 생태계를 분석한 뒤 공공시설 위주로 마중물 투자에 나서 민간 투자를 이끌어 낼 계획이다. 용산전자상가와 온수산업단지 등 준공업지역에 대한 사전 조사가 완료되면 대상 지역을 추가할 수도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역사·문화 자원특화 지역으로는 세종대로 일대,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남산예장자락, 당인리 발전소, 낙원상가·돈화문로, 돈의문 일대 등 7개 지역이 뽑혔다.
이들 지역은 자원을 보존하면서 관광명소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재생한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지역 자산의 활용도를 분석한 뒤 주변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 지역을 명소화할 계획이다.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 MICE(회의·관광·컨벤션·전시회 복합단지), 광운대역, 상암·수색 등 5개 지역은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이다. 서울시는 지역의 중심지 기능을 강화하도록 종합계획을 만들어 실행하기로 했다.
이 계획에 따라 서울시는 창동차량기지 이전을 본격화하기 위해 관련 설계 용역을 지난주 발주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차량기지를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으로 이전하고 남는 대규모 부지와 인근 도봉면허시험장 땅을 ‘글로벌비즈니스 지역’으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후 주거지역은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 지역과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 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으로 구성된다. 이 본부장은 “뉴타운의 대안으로 ‘통합형 주거지 재생모델’을 도입할 것”이라며 “한 구역에서도 주거환경관리, 가로주택정비, 주택개량지원 등 지역 특성과 현실에 맞는 사업 방식을 혼합해 활용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정비사업 대상 지역은 임대주택 매입비용 현실화, 융자 한도 증액, 이자율 인하 등을 통해 활성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산하 SH공사와 함께 4년 동안 이번 재생사업에 2조3000억원가량을 투자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1조3000억원, SH공사가 1조원 정도를 투자한다. SH공사는 재생사업 실행 전문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조성’을 위한 1단계 사업에도 시행자로 참여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과 민간이 협력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지속적으로 추진 동력을 확보하는 게 도시재생사업의 성공 열쇠”라고 말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종합계획에 따르면 재생 대상 지역 27곳은 네 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쇠퇴한 산업지역 중 도시재생이 필요한 곳으로 세운상가, G-밸리, 장안평 일대 등 세 곳이 선정됐다. 이들 지역은 한때 지역 성장을 이끌었지만 활력이 떨어져 기존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활로를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이들 지역의 산업 생태계를 분석한 뒤 공공시설 위주로 마중물 투자에 나서 민간 투자를 이끌어 낼 계획이다. 용산전자상가와 온수산업단지 등 준공업지역에 대한 사전 조사가 완료되면 대상 지역을 추가할 수도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역사·문화 자원특화 지역으로는 세종대로 일대,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남산예장자락, 당인리 발전소, 낙원상가·돈화문로, 돈의문 일대 등 7개 지역이 뽑혔다.
이들 지역은 자원을 보존하면서 관광명소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재생한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지역 자산의 활용도를 분석한 뒤 주변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 지역을 명소화할 계획이다.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 MICE(회의·관광·컨벤션·전시회 복합단지), 광운대역, 상암·수색 등 5개 지역은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이다. 서울시는 지역의 중심지 기능을 강화하도록 종합계획을 만들어 실행하기로 했다.
이 계획에 따라 서울시는 창동차량기지 이전을 본격화하기 위해 관련 설계 용역을 지난주 발주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차량기지를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으로 이전하고 남는 대규모 부지와 인근 도봉면허시험장 땅을 ‘글로벌비즈니스 지역’으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후 주거지역은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 지역과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 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으로 구성된다. 이 본부장은 “뉴타운의 대안으로 ‘통합형 주거지 재생모델’을 도입할 것”이라며 “한 구역에서도 주거환경관리, 가로주택정비, 주택개량지원 등 지역 특성과 현실에 맞는 사업 방식을 혼합해 활용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정비사업 대상 지역은 임대주택 매입비용 현실화, 융자 한도 증액, 이자율 인하 등을 통해 활성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산하 SH공사와 함께 4년 동안 이번 재생사업에 2조3000억원가량을 투자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1조3000억원, SH공사가 1조원 정도를 투자한다. SH공사는 재생사업 실행 전문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조성’을 위한 1단계 사업에도 시행자로 참여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과 민간이 협력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지속적으로 추진 동력을 확보하는 게 도시재생사업의 성공 열쇠”라고 말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