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GNI에서 비중 줄어드는 가계소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그래픽으로 배우는 경제
올해 한국은 1인당 국민총소득(GNI) 3만달러 달성이 예측된다. 3%대 성장률이 유지되면 2021년 4만달러, 2024년에는 5만달러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먹고살 만하다’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나라의 부(富)는 증가하지만 가계 체감 소득은 여전히 낮은 탓이다.
GNI는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부문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활동에서 벌어들인 소득이다. 한국의 GNI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가계가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를 기업에 제공하고 벌어들인 가계소득은 GNI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가계소득 비중 축소는 미국 영국을 비롯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하지만 한국이 유독 축소 폭이 크고 속도도 빠르다. 한국의 GNI 대비 가계소득 비중은 1995년 70.6%에서 2013년 61.2%로 9.4%포인트 하락했다. 미국(3.2%포인트, 1998년 대비), 독일(3.9%포인트), OECD 평균(3.8%포인트)보다 하락폭이 크다. 가계소득이 GNI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은 기업의 이윤이 가계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자영업자 소득이 침체하고 있는 것이 큰 요인이다. 자영업자의 영업이익률은 1991~2000년 평균 10.4%에서 2001~2012년 1.5%으로 추락했다. 최근 최경환 부총리가 최저 임금인상안을 꺼내든 것은 기업이윤을 가계로 흘러가도록 해 침체된 내수를 살려 보겠다는 취지다.
가계는 기업, 정부와 함께 3대 경제주체다. 이들은 서로 끌고 받쳐주면서 유기적으로 성장한다. 가계소득이 줄어 가계와 기업 간 소득격차가 확대되면 경제가 대내외 충격에 민감해지고, 안정적 성장도 흔들린다. 국민소득 3만달러는 올해 기대되는 뉴스다. 이 숫자가 공허해지지 않으려면 가계소득의 안정이 필요하다.
손정희 연구원 jhson@hankyung.com
GNI는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부문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활동에서 벌어들인 소득이다. 한국의 GNI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가계가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를 기업에 제공하고 벌어들인 가계소득은 GNI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가계소득 비중 축소는 미국 영국을 비롯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하지만 한국이 유독 축소 폭이 크고 속도도 빠르다. 한국의 GNI 대비 가계소득 비중은 1995년 70.6%에서 2013년 61.2%로 9.4%포인트 하락했다. 미국(3.2%포인트, 1998년 대비), 독일(3.9%포인트), OECD 평균(3.8%포인트)보다 하락폭이 크다. 가계소득이 GNI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은 기업의 이윤이 가계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자영업자 소득이 침체하고 있는 것이 큰 요인이다. 자영업자의 영업이익률은 1991~2000년 평균 10.4%에서 2001~2012년 1.5%으로 추락했다. 최근 최경환 부총리가 최저 임금인상안을 꺼내든 것은 기업이윤을 가계로 흘러가도록 해 침체된 내수를 살려 보겠다는 취지다.
가계는 기업, 정부와 함께 3대 경제주체다. 이들은 서로 끌고 받쳐주면서 유기적으로 성장한다. 가계소득이 줄어 가계와 기업 간 소득격차가 확대되면 경제가 대내외 충격에 민감해지고, 안정적 성장도 흔들린다. 국민소득 3만달러는 올해 기대되는 뉴스다. 이 숫자가 공허해지지 않으려면 가계소득의 안정이 필요하다.
손정희 연구원 jhs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