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교수들 "학과제 폐지 반대"…총학생회 문제 제기
중앙대가 지난달 26일 내놓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을 둘러싼 학내 갈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학교 측의 학과제 폐지안에 교수들이 강력 반발하자 학생들은 이 같은 교수들의 행동을 ‘기득권 지키기’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중앙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김누리 유럽문화학부 교수·사진)는 지난 9~11일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한 결과, 전임교수 864명 중 555명이 투표에 참여해 이 가운데 92.4%인 513명이 학교 측 계획안에 반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비대위 측은 “계획안을 강행한다면 총장 불신임 투표와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용구 중앙대 총장은 “임의 단체를 구성해 학내를 분열시키고 정상적인 논의를 반대하는 행위는 엄중 문책하겠다”고 말했다. 비대위가 공식적인 기구가 아닌 만큼 투표 결과도 인정할 수 없다는 게 학교 측 설명이다.

교수들의 반발에 대해 학생들 사이에선 학과제 폐지로 학생들이 얻게 될 이익을 도외시한 처사가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앙대 총학생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글로벌 명문사학으로 발전하려면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점에 깊이 공감한다”며 “교수들이 기득권을 누리려는 것이 아니라면 학과제 폐지로 인한 학생들의 피해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라”고 강조했다.

총학생회는 특히 “계획안에 따르면 학생의 전공 선택의 기회가 증가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전공 선택 시기(2학년 2학기)를 앞당기거나 기초학문 존속 등 보완할 점이 있어 학교 측에 수정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학내 커뮤니티 등에도 교수들의 행동에 비판적인 학생들의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한 학생은 “대학생활을 하다보니 입학하면서 선택한 학과가 마음에 들지 않아 전과를 준비하느라 큰 고통을 겪었다”며 “새로 들어올 신입생은 전공 선택의 기회와 폭이 커진 셈”이라는 의견을 올렸다. 다른 학생은 “교수들의 성명서에 ‘교수’는 47번 등장하지만 ‘학생’은 단 한 번 등장했다”며 “과연 교수들이 학생을 진심으로 걱정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학내 논란이 커지자 중앙대 총학생회는 오는 18~20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측이 내놓은 계획안에 대한 찬반 총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

오형주/선한결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