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기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속속 하향…2%대 전망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외 경제전망 기관들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속속 내려잡고 있다.
1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이후 27개 해외 경제예측기관이 내놓은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평균 3.4%다.
해외 기관들의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는 정부(3.8%)보다 낮고 한국은행(3.4%)보다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두 달 새 한은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 10일에는 노무라증권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5%로 내리면서 해외 기관 중 처음으로 2%대 전망치를 내놨다.
앞서 미국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중국 부동산시장 급락과 미국 금리 인상, 엔화 약세 심화 등의 악재가 동시에 터지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2.3%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다수 기관은 전망치 하향 조정의 이유로 수출과 민간소비 부진을 들었다. 특히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예상보다 느린데다 '환율전쟁'까지 격화해 한국 경제를 이끌어온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봤다.
권영선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1∼2월 주택 매매거래량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3% 증가하는 등 부동산시장은 긍정적이지만, 미약한 수출과 소비가 이런 긍정적 효과를 누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이후 27개 해외 경제예측기관이 내놓은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평균 3.4%다.
해외 기관들의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는 정부(3.8%)보다 낮고 한국은행(3.4%)보다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두 달 새 한은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 10일에는 노무라증권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5%로 내리면서 해외 기관 중 처음으로 2%대 전망치를 내놨다.
앞서 미국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중국 부동산시장 급락과 미국 금리 인상, 엔화 약세 심화 등의 악재가 동시에 터지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2.3%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다수 기관은 전망치 하향 조정의 이유로 수출과 민간소비 부진을 들었다. 특히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예상보다 느린데다 '환율전쟁'까지 격화해 한국 경제를 이끌어온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봤다.
권영선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1∼2월 주택 매매거래량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3% 증가하는 등 부동산시장은 긍정적이지만, 미약한 수출과 소비가 이런 긍정적 효과를 누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