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영향요인 찾아 순위 매겨 평상시 꾸준히 모니터링해야
오일쇼크 미리 대비한 쉘, 업계 7위서 2위로 수직점프
금융위기 때 환율 변동 대비…SK에너지 환차익까지 올려
‘고수는 겁이 많다. 뒤를 알기 때문이다. 하수는 겁이 없다. 뒤를 모르기 때문이다.’
직장인의 애환을 다룬 웹툰 ‘미생(윤태호 저)’의 한 대목이다. 오늘날 보험산업이 이렇게 발전하게 된 것도 다 앞날에 대한 걱정 때문일 것이다. 유일하게 인간은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는 미래를 내다보는 예지자의 능력으로 살인사건을 사전에 막는 장면이 나온다. 모두 미래를 알고 싶어 하는 인간의 바람을 담고 있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요즘처럼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시대, 작년 말에 수립한 2015년 계획을 벌써 수정해야 할지도 모른다. 공이 어느 방향으로 튈지 전혀 모르는 상황. 환경변화 속도가 너무나 빠르고 여러 변수가 복합적으로 엮이는 요즘 불확실성은 커져만 간다. 이 때문에 기업도 미래를 알고 대비하고 싶어 한다.
‘미래를 아는 것은 신의 영역이니 어쩔 수 없다손 쳐도, 대비는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이 시나리오플래닝 전략이다. 1970년대 오일쇼크 당시 정유회사인 셸(Shell)이 활용해 큰 성공을 거둔 이후 시나리오플래닝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커졌다. 누구나 석유수급에는 문제가 없을 거라 자신하던 때 쉘은 ‘석유위기’를 포함한 6개의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정말 ‘석유가 없는’(실제로는 OPEC의 석유 공급 제한조치) 상황이 벌어진 것. 회사가 합병되는 등 대혼란을 겪은 다른 석유회사들과는 달리 셸은 여유가 있었다. 자신들의 시나리오대로 이미 석유공급원을 중동 외 다른 지역으로 다양화하고, 석유 비축량도 늘려 놓았기 때문이다. 이때만 해도 업계 7위권이었던 셸은 단숨에 2위까지 올라갔다. 이런 사례는 한국에도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경쟁사들은 대부분 손실을 보고 있을 때 SK에너지가 이익을 낼 수 있었던 것도 시나리오플래닝 덕분이었다. 두바이 현지에서 석유를 싣고 한국까지 오는 한 달. 이 사이 다양한 유가변동에 따른 시나리오를 세워둔 덕분에 갑작스런 환율변동에도 오히려 환차익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시나리오플래닝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고 시나리오화해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는 것일까.
먼저 시나리오의 재료가 되는 핵심영향요인을 찾아야 한다. 우리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을 우선순위화하는 것이다. 이때는 위험도와 불확실성이 큰 것을 기준으로 삼는다. 발생하면 기업에 미치는 위험이 크고, 발생할지 안 할지 몰라 불확실성이 큰 요인이 파급력도 크기 때문이다. 이렇게 핵심 영향요인을 찾았으면 이 요인들이 극단적인 상황 발생 시 어떻게 작용할지를 예상해 시나리오를 만든다. 일상적인 진폭이 아닌 오일쇼크와 같은 극단적 상황을 가정하는 것이다. 닥쳤을 때 쉽게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이기에 미리 대응전략을 짜 두는 것이기 때문이다. 자, 시나리오별로 대응전략까지 세웠다. 그러면 다 끝난 것일까.
시나리오플래닝의 실제 효용은 이제부터다. 미래 우리 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영향요인, 평상시 이것을 꾸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그래서 핵심영향요인이 시나리오처럼 극단으로 가려는 조짐이 보이면 바로 위기를 감지하고 미리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의 시대, 어떤 요인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알 수 없다.
그렇다고 손 놓고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는 법. 그래서 수많은 요인 중 가장 중요한 핵심영향요인을 정해 놓고, 최소한 그것만이라도 예의주시하고 있으면 큰 위험이 닥쳤을 때 덜 당황하지 않겠는가. 이것이 시나리오플래닝이다. 미래가 불안하다면 시나리오플래닝으로 위기가 닥치기 전에 조기경보를 날리는 시스템을 갖춰라.
금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금을 정리하려는 실수요자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 종로귀금속 거리엔 집에 있던 금붙이를 팔러 온 발길이 이어졌다. 이들은 보자기나 작은 파우치에 목걸이, 팔찌 등을 가져와 판매가를 흥정하기도 했다.일부 가게에선 금을 파는 실수요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무료 감정', '최고가 매입' 등의 입간판을 세우기도 했다.한 실수요자는 "어차피 끼지도 않는데 금값이 비쌀 때 팔려고 왔다"고 했다.금을 사러 온 실수요자들은 골드바만 찾는다는 게 상인들의 전언이다. 한 상인은 "다들 금이 비싸다고 혀를 내두르면서도 더 오를 것이라 생각하는지 골드바를 많이 찾는다"고 했다.다만 돌 반지 등 금 관련 제품을 사는 실수요자들은 적은 것으로 전해진다. 반지를 파는 가게의 경우 세공비가 주 수입원인데 금값 자체가 높다 보니 실수요자들이 금제품을 사지 않는 상황이다. 또 다른 상인은 "온종일 단 하나도 팔지 못했다"고 했다.일부 가게에선 진열장에서 아예 돌 반지를 치워놓기도 하고, 가격 부담이 적은 반 돈짜리 반지를 진열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국제 금값은 지난달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상승 흐름을 탔다. 이른바 '관세 전쟁' 위기감이 커지면서부터는 안전자산 수요가 폭증하며 최고가를 연거푸 경신하는 중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금값 고공행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60대 남성 김모씨는 20년 전 종신보험에 가입해 매달 30만원의 보험료를 내고 있다. 혹시 본인이 사망했을 때 남겨질 아내와 자녀들을 생각해 꼬박꼬박 보험료를 냈다. 김씨는 막상 60대가 돼 자녀들이 독립을 하자 본인의 노후가 더 걱정되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주변 지인이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바꿨다는 얘기를 듣고 보험사에 전환이 가능한지 문의했다. 김씨처럼 사망 보장을 위해 종신보험에 가입했다가 나이가 든 뒤에 연금 전환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노후 생활비를 안정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연금소득이 부족한 고령층 소비자라면 종신보험의 연금 전환 기능을 고려할 만하다고 조언한다. 다만 종신보험을 저축성 자산으로 오인할 경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종신보험 연금 전환이란종신보험은 피보험자가 사망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과거 가장이 사망했을 때 남겨질 가족을 위해 종신보험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종신보험 단일 상품의 계약 건수만 1600만건이 넘을 정도로 많은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저출산과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종신보험의 인기는 점차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가입한 종신보험을 해약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대부분 종신보험은 보험료 납입 기간 도중에 해약할 경우 원금의 일부만 돌려받을 수 있어 손실을 입을 위험이 있다. 당장 노후에 쓸 돈이 필요하다면 종신보험의 ‘연금 전환’ 특약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연금 전환을 신청하면 종신보험의 해약환급금을 재원으로 연금을 지급한다. 즉 종신보험 가입 기간 동안엔 사망보장을 받고, 고객이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가격이 17주 만에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다. 국제 유가가 하락해서다.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월 첫째 주(2∼6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0.04원 내린 1733.06원을 기록했다. 앞서 주간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주까지 16주 연속 상승했다.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직전 주보다 4.1원 상승한 1801.8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1.4원 하락한 1706.4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L당 평균가는 1706.6원이었다.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1597.7원으로 L당 1.1원 올랐으나 상승 폭은 전주의 11.3원 대비 줄었다.이번 주 국제유가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 발효 이후 고조한 미중 무역 전쟁 우려, 미국 주간 원유 재고 증가 등에 하락했다.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된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