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2일 기준금리를 사상 첫 1%대로 인하한 데 대해 전문가들은 방향은 맞지만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물가 하락에 따른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생산·투자·소비가 모두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경기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인하가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인하 자체도 의미가 있지만 시장에 앞으로도 완화적인 형태의 통화 정책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형성해주는 게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금리 인하가 경제 활성화에 어느 정도 도움은 되겠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전망했다. 오히려 가계부채가 더 늘어나고, 미국의 금리가 인상되면 자본의 유출도 확산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부문장은 "경기 심리가 위축돼 있기 때문에 효과는 적을 것이라고 본다"며 "가계부채는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데, 금리 인하로 '부채의 덫'에 빠지는 것이 아닌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