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병 로봇·재난 조기경보 등 '다부처공동기획사업' 확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 안전과 미래 무인사회 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 부처들이 벽을 허물고 협력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13일 제7회 다부처공동기획협력특별위원회를 열고 ‘2016년도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사전기획연구 대상 사업’과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제도개선안’ 등을 확정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국가 연구개발(R&D)이 부처별로 예산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보니 비슷한 사업을 중복 진행하고, 부처별 연구 성과를 연계하지 못한 점을 고치기 위해서다. 정부는 2013년 처음 ‘2015년도 다부처공동기획사업’을 기획했다.
이를 더 확장해 내년에는 사회문제 해결, 미래 대비 기술, 중소·벤처 기업 활성화 등 세 개 분야에서 제기된 40건의 사업기획안 중 13건을 대상 사업으로 확정했다. △사이버 재난 대응 정보 인프라 기술 △첨단센서 기반 재난예측 조기 경보 시스템 △간병 지원 로봇 시스템 등이다.
미래부는 다부처특위를 통해 확정한 사전기획연구 대상 사업 13건에 대해 사업 타당성, 다부처 협력체계 등을 종합 검토한 후 2016년 본격 연구에 들어갈 계획이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지금까지 국가 연구개발(R&D)이 부처별로 예산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보니 비슷한 사업을 중복 진행하고, 부처별 연구 성과를 연계하지 못한 점을 고치기 위해서다. 정부는 2013년 처음 ‘2015년도 다부처공동기획사업’을 기획했다.
이를 더 확장해 내년에는 사회문제 해결, 미래 대비 기술, 중소·벤처 기업 활성화 등 세 개 분야에서 제기된 40건의 사업기획안 중 13건을 대상 사업으로 확정했다. △사이버 재난 대응 정보 인프라 기술 △첨단센서 기반 재난예측 조기 경보 시스템 △간병 지원 로봇 시스템 등이다.
미래부는 다부처특위를 통해 확정한 사전기획연구 대상 사업 13건에 대해 사업 타당성, 다부처 협력체계 등을 종합 검토한 후 2016년 본격 연구에 들어갈 계획이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