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의 점진적인 소멸은 장기적인 추세라고 봅니다. 전세 수급 안정에 집착하는 정책은 실패할 가능성이 큽니다.”

김흥수 건설산업연구원장(사진)은 “국내 임대차 시장은 보증부 월세(반전세)에서 순수 월세로 점차 옮겨 갈 것”으로 전망했다. 전세가 사라지면 개인의 재무상태나 선호에 따라 집을 사거나 월세로 이동하는 상황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월세전환은 경기나 단순한 수급 문제를 떠나 임대시장의 구조가 바뀌면서 생겨난 현상이라는 게 김 원장의 분석이다. 때문에 전세난과 관련한 다양한 대책이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긴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김 원장은 “일단 장기적인 시각과 단계별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세공급을 유지하려는 정책보다 월세 전환을 유도하되 주거비 부담을 낮추는 방향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는 “월세 소득공제를 확대하고 공신력 있는 세부 시장별 전·월세 전환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게 실효성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