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 잡으려면 보유세 낮춰야" 3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건설산업硏 조사
전세난 해결을 위한 주택임대사업 활성화 지원책으로 ‘보유세 및 임대소득세 감면 확대’가 우선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올해 아파트 전셋값은 4~5%가량 오를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경제신문이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최근 전국 임대·임차인 690명을 대상으로 벌인 ‘2015년 전·월세 동향과 기업형 민간임대주택(뉴 스테이) 인식 조사’에서 나왔다.
올해 전셋값 상승률은 4~5%로 예상한 응답자가 36%로 가장 많았고 2~3%라는 응답(29.4%)이 뒤를 이었다. 전세난을 잡기 위한 임대사업 지원 방안으로는 ‘재산세 등 감면 확대’(31%), ‘임대소득세 감면 확대’(23.6%) 등 추가 세제 혜택 필요성을 꼽았다.
정부가 적극 추진 중인 기업형 임대주택이 ‘전반적인 민간 임대시장을 활성화할 것’이란 의견은 54.6%였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전세의 월세 전환이라는 임대시장의 구조적 변화 속에서 임대 서비스 수준을 크게 높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고 말했다.
김진수/이현진 기자 true@hankyung.com
이 같은 결과는 한국경제신문이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최근 전국 임대·임차인 690명을 대상으로 벌인 ‘2015년 전·월세 동향과 기업형 민간임대주택(뉴 스테이) 인식 조사’에서 나왔다.
올해 전셋값 상승률은 4~5%로 예상한 응답자가 36%로 가장 많았고 2~3%라는 응답(29.4%)이 뒤를 이었다. 전세난을 잡기 위한 임대사업 지원 방안으로는 ‘재산세 등 감면 확대’(31%), ‘임대소득세 감면 확대’(23.6%) 등 추가 세제 혜택 필요성을 꼽았다.
정부가 적극 추진 중인 기업형 임대주택이 ‘전반적인 민간 임대시장을 활성화할 것’이란 의견은 54.6%였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전세의 월세 전환이라는 임대시장의 구조적 변화 속에서 임대 서비스 수준을 크게 높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고 말했다.
김진수/이현진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