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부처별로 제각각인 로고 등 상징체계가 하나로 통합된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통일된 정부 상징(GI·government identity)을 만들어 국내외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국가상징체계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연내 심볼 마크와 전용서체, 색상 등 상징의 기본체계와 행정서식, 깃발, 내외부 사인물 등 핵심 응용체계를 개발할 계획이다. 다음달 전문가로 구성된 컨소시엄 업체 5곳을 뽑아 각각 개발작업을 맡긴다.

업체들이 태극기, 무궁화 등 지정 소재 2개와 자유 소재 1개씩을 바탕으로 오는 8월 결과물을 제출하면 전시회와 공청회 등을 거쳐 10월 중 최종 상징안을 선정한다. 현재 각 부처와 소속 기관들은 각각의 상징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문체부가 11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부 부처 22곳의 상징을 하나도 모른다고 답한 사람이 53.6%였다. 상징이 제각각이어서 국제관계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사용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있었다.

새 상징체계는 경찰청, 우체국 등 기존 상징체계가 국민에게 친숙한 곳과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 특수한 기관을 제외한 모든 국가행정기관에서 사용하게 된다. 내년 3월 문체부에 시범 적용한 뒤 연내 중앙행정기관과 특별지방행정기관, 2017년에 부속기관과 기타 합의제 행정기관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문체부는 오는 23일 전문 디자인업체 공모 사항을 발표한다.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도 진행한다. 상징체계 개편에는 총 236억원이 들어갈 전망이다.

원용기 문체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이번 사업으로 조직개편 때마다 기관 상징 변경에 들어가는 경비를 줄일 수 있게 됐다”며 “2007년 213억원을 들여 정부 상징을 체계화한 네덜란드는 연 60억원 이상 예산 절감 효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