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탄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제] 공급이 늘거나 줄어들어 시장가격에 변화가 초래되는 경우 수입도 달라진다. 생산자 입장에서 수입이 증가하는 경우를 옳게 짝지은 것은? 단, 쌀은 필수재이고 장미꽃은 사치재라고 가정한다.
(1) 쌀-가격 하락, 장미-가격 하락
(2) 쌀-가격 하락, 장미-가격 상승
(3) 쌀-가격 상승, 장미-가격 상승
(4) 쌀-가격 상승, 장미-가격 하락
(5) 어떤 경우든 수입의 변동은 없다.
[해설]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은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수요량의 변동률을 가격 변동률로 나눠서 구하는데, 1보다 크면 탄력적이고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필수품이거나 대체재가 적을수록 비탄력적이고, 사치품이거나 밀접한 대체재가 많을수록 탄력적이다. 필수재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아 가격이 상승해도 수요량이 크게 줄지 않으므로 생산자의 수입이 증가한다. 반면 사치재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높아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크게 줄어 생산자 수입이 감소한다. 따라서 쌀 가격 상승, 장미꽃 가격 하락의 경우에 생산자의 수입이 증가한다.
정답 (4)
(1) 쌀-가격 하락, 장미-가격 하락
(2) 쌀-가격 하락, 장미-가격 상승
(3) 쌀-가격 상승, 장미-가격 상승
(4) 쌀-가격 상승, 장미-가격 하락
(5) 어떤 경우든 수입의 변동은 없다.
[해설]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은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수요량의 변동률을 가격 변동률로 나눠서 구하는데, 1보다 크면 탄력적이고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필수품이거나 대체재가 적을수록 비탄력적이고, 사치품이거나 밀접한 대체재가 많을수록 탄력적이다. 필수재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아 가격이 상승해도 수요량이 크게 줄지 않으므로 생산자의 수입이 증가한다. 반면 사치재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높아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크게 줄어 생산자 수입이 감소한다. 따라서 쌀 가격 상승, 장미꽃 가격 하락의 경우에 생산자의 수입이 증가한다.
정답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