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동맹 잇단 AIIB 참여에 곤혹…미-중 신경전 가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럽의 주요 동맹이 잇따라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참여를 전격적으로 선언하면서 미국이 곤혹한 입장에 빠졌다.
동맹국의 AIIB 참여를 저지하고자 총력을 기울여 온 미국에는 정치·외교적으로 큰 타격일 수밖에 없다.
영국이 지난주 AIIB 참여를 공식으로 선언한 데 이어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3개국도 17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AIIB의 창립 회원국으로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최대 투자대상국이 되기를 바라는 영국의 '대오 이탈'로 미국 주도의 반(反)AIIB 전선에 균열이 생긴 뒤 경제적 불이익을 우려한 유럽의 핵심 동맹이 잇따라 중국의 손을 잡은 것이다.
이들 국가 입장에선 명분보다는 실리를 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럽 국가들 이외에 호주도 입장을 바꿔 AIIB에 가입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우리 정부 역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중 양국이 AIIB를 놓고 첨예한 신경전을 벌이는 것은 이것이 단순히 아시아지역 내 경제기구의 의미를 넘어 아시아 지역 내 역학구도 변화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향후의 아시아 경제·무역질서를 누가 써갈 것인가를 둘러싼 양국 간의 기 싸움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그 첫 시험대가 바로 AIIB로 평가됐기 때문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아예 "중국의 돈 자석이 미국 우방들을 끌어당기고 있다"면서 AIIB 출범을 21세기 미-중 간 권력 이동의 신호라고 진단했다.
2013년 AIIB 창설 계획 발표 이후 버락 오바마 대통령까지 몸소 나서 동맹의 AIIB 참여를 반대해 온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동맹국의 AIIB 참여를 저지하고자 총력을 기울여 온 미국에는 정치·외교적으로 큰 타격일 수밖에 없다.
영국이 지난주 AIIB 참여를 공식으로 선언한 데 이어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3개국도 17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AIIB의 창립 회원국으로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최대 투자대상국이 되기를 바라는 영국의 '대오 이탈'로 미국 주도의 반(反)AIIB 전선에 균열이 생긴 뒤 경제적 불이익을 우려한 유럽의 핵심 동맹이 잇따라 중국의 손을 잡은 것이다.
이들 국가 입장에선 명분보다는 실리를 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럽 국가들 이외에 호주도 입장을 바꿔 AIIB에 가입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우리 정부 역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중 양국이 AIIB를 놓고 첨예한 신경전을 벌이는 것은 이것이 단순히 아시아지역 내 경제기구의 의미를 넘어 아시아 지역 내 역학구도 변화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향후의 아시아 경제·무역질서를 누가 써갈 것인가를 둘러싼 양국 간의 기 싸움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그 첫 시험대가 바로 AIIB로 평가됐기 때문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아예 "중국의 돈 자석이 미국 우방들을 끌어당기고 있다"면서 AIIB 출범을 21세기 미-중 간 권력 이동의 신호라고 진단했다.
2013년 AIIB 창설 계획 발표 이후 버락 오바마 대통령까지 몸소 나서 동맹의 AIIB 참여를 반대해 온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