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특수1부 수사관들이 18일 서울 동대문구 경남기업 본사를 압수수색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 수사관들이 18일 서울 동대문구 경남기업 본사를 압수수색하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이 경남기업과 한국석유공사에 대해 18일 전격 압수수색을 벌이면서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을 타깃으로 한 수사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새누리당 국회의원을 지낸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의 정·관계 로비 의혹도 수사대상에 올랐다. 검찰은 석유공사 외에 다른 공기업도 자원개발 사업에 투자하는 과정에서 특혜나 로비 등 혐의가 있는지 수사를 벌일 전망이다.

검찰이 가장 주안점을 두는 것은 2005년부터 추진된 러시아 캄차카반도 석유 광구 탐사 사업이다. 한국석유공사가 기업들과 한국컨소시엄을 꾸려 추진했으며 지분은 석유공사 55%, 경남기업 20%, SK가스 15%, 대성산업 10%였다. 당시 석유공사는 탐사에 성공하면 경제적 이익이 클 것이라고 홍보했지만 큰 성과 없이 2010년 철수했다. 이로 인한 손실은 약 3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기업은 광물자원공사 등 다른 공기업과 컨소시엄을 이뤄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 개발사업, 아제르바이잔 석유탐사, 미국 멕시코만 가스탐사 등 해외 자원 개발 사업에 잇따라 참여했다.

‘MB맨’으로 분류되는 성 회장은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그는 2008년 말 암바토비 광산사업에서 발을 뺄 당시 친분이 있던 김신종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65)에게 지분 매각을 청탁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때문에 배임혐의로 고발됐으나 2012년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이날 오후 신한은행을 비롯한 8개 채권기관은 경남기업이 요청한 1100억원 지원 건을 논의했지만 부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결론 없이 끝났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자금 지원에 부정적인 기류가 많았다”고 전했다. 채권단은 경남기업 지원안을 언제 어떻게 추가로 논의할지도 결정짓지 못했다.

한편 검찰은 전남 순천시 신대배후단지 개발 사업 주체인 중흥건설도 지난 17일 압수수색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지난해 감사원의 고발에 따라 시행사의 신대지구 개발 토지이용계획에 어긋난 일방적 실시계획 변경 등 위법사항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중흥건설이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소람/이현일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