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아베, 미국 의회 연설시 과거사 성찰 보여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다음 달 미국 방문시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상·하원 합동연설을 할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해 "연설이 결정되면 과거사를 성찰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20일 "만약 아베 총리의 연설이 이뤄지면 종전 70년과 한일 국교 정상화 50년을 맞아 일본 정부가 그동안 누차 공언한 대로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성찰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아베 총리가 미국 의회 연설 때 과거 식민 지배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뜻이다.
일본의 식민 지배와 침략 전쟁을 인정하고 사죄한 무라야마(村山) 담화와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 등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에 대해 아베 내각도 계승하고 있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에 이런 기조가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대외적으로 일본이 올바른 입장을 표명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며 그런 차원에서 미국과 협조를 잘 하고 있다"면서 "우리도 손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외교부 당국자는 20일 "만약 아베 총리의 연설이 이뤄지면 종전 70년과 한일 국교 정상화 50년을 맞아 일본 정부가 그동안 누차 공언한 대로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성찰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아베 총리가 미국 의회 연설 때 과거 식민 지배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뜻이다.
일본의 식민 지배와 침략 전쟁을 인정하고 사죄한 무라야마(村山) 담화와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 등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에 대해 아베 내각도 계승하고 있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에 이런 기조가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대외적으로 일본이 올바른 입장을 표명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며 그런 차원에서 미국과 협조를 잘 하고 있다"면서 "우리도 손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