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삶의 질에 대한 선택…귀촌인구가 늘고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귀농·귀촌 인구가 지난해 4만4586가구(8만855명)에 달해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고 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4067가구였던 귀농·귀촌이 해마다 두 배씩 불어나면서 불과 5년 만에 11배로 급증했다. 특히 농사를 짓지 않으면서도 시골로 이주한 귀촌의 증가세가 가파르다. 직접 농사를 짓는 귀농(지난해 1만1144가구)은 전년보다 2.0% 느는 데 그친 반면, 귀촌은 55.5%나 급증한 3만3442가구(6만1991명)에 달했다.
6만명이 넘는 도시민이 귀촌을 선택한 것은 여러모로 주목할 만하다. 교통 정보통신망의 발달로 요즘 농어촌 주거환경은 몰라보게 개선되고 있다. 웬만한 읍면이면 도시 못지않은 문화·체육시설도 갖춰져 있다. 정부의 귀농귀촌종합센터나 각 지자체가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귀촌은 이런 인프라만으로 쉽게 결심하는 게 아니다. 오히려 삶의 질에 대한 진지한 고민 끝에 과감하게 전원생활을 선택한 결과로 봐야 할 것이다. 그렇기에 2~3년 내 도시로 되돌아가는 비율은 1.9%에 불과할 정도다.
귀농·귀촌 붐은 농어촌 풍경도 크게 바꿔놓고 있다. 귀농·귀촌인의 70%가 50대 이하 청·장년층이다. 경영 IT 등을 경험한 이들이 농업의 6차 산업화에 기여하고 지역리더로서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로 귀촌가구가 많이 정착한 전북 고창과 완주의 경우 줄기만 하던 인구가 최근 4년 새 10%가량 늘었다. 떠나기만 하던 농어촌이 이젠 돌아가는 농어촌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6만명이 넘는 도시민이 귀촌을 선택한 것은 여러모로 주목할 만하다. 교통 정보통신망의 발달로 요즘 농어촌 주거환경은 몰라보게 개선되고 있다. 웬만한 읍면이면 도시 못지않은 문화·체육시설도 갖춰져 있다. 정부의 귀농귀촌종합센터나 각 지자체가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귀촌은 이런 인프라만으로 쉽게 결심하는 게 아니다. 오히려 삶의 질에 대한 진지한 고민 끝에 과감하게 전원생활을 선택한 결과로 봐야 할 것이다. 그렇기에 2~3년 내 도시로 되돌아가는 비율은 1.9%에 불과할 정도다.
귀농·귀촌 붐은 농어촌 풍경도 크게 바꿔놓고 있다. 귀농·귀촌인의 70%가 50대 이하 청·장년층이다. 경영 IT 등을 경험한 이들이 농업의 6차 산업화에 기여하고 지역리더로서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로 귀촌가구가 많이 정착한 전북 고창과 완주의 경우 줄기만 하던 인구가 최근 4년 새 10%가량 늘었다. 떠나기만 하던 농어촌이 이젠 돌아가는 농어촌으로 탈바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