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표면처리단지 안산 P&P센터
도금하거나 인쇄회로기판(PCB)을 만드는 오래된 공장들은 낡고, 컴컴하고, 화공약품 냄새가 많이 난다. 외국인 근로자조차도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정도다.
하지만 경기 안산시 성곡동에 세워진 ‘스마트허브 P&P(Plating & PCB)센터’는 다르다. 이곳에 입주한 공장들이 폐수를 공동으로 처리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했기 때문이다. 작년 말 입주가 시작된 이곳에는 현재 8개 업체가 들어섰고, 연내 총 27개가 입주할 예정이다. 대지 1만5000여㎡ 위에 건물 8개 동이 건설됐다. 총 연건평은 3만1680㎡에 이른다.
이곳에 들어온 화백엔지니어링(사장 이강·58) 공장에서는 표면처리작업이 한창이었다. 기존 납과 주석의 혼합용액 대신 주석을 입히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 사장은 “공해물질인 납을 없애고 주석만으로 도금하는 기법으로 PCB 회로를 입히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반월에 있던 공장을 작년 말 이곳으로 옮겼다. 이 사장은 “공장을 이전하니 작업환경이 깨끗해 근로자들의 만족도가 무척 높아졌다”며 “인근에서 폐자재를 소각해 만든 스팀을 공급받아 도금액을 가열하니 전기료 부담도 절반 이하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2000년 인천 남동산업단지의 26.4㎡짜리 임차공장에서 출범한 화백엔지니어링은 그 뒤 시화로 본사를 옮긴 뒤 독일과 일본이 장악해온 각종 표면처리액을 국산화하고 ‘무전해주석도금라인’을 개발했다. PCB의 에칭 공정에서 생기는 폐액에서 전기적 재생방법으로 구리를 회수하고 나머지는 공정에 재순환하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벤처기업대상, 경기도지사상, 지식경제부장관상 등 수많은 상을 받았다. 이번에 작업환경이 깨끗한 곳으로 공장을 이전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꿈꾸고 있다.
스마트허브 P&P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단지공단의 ‘노후 산업단지 혁신’ 사업으로 만들어진 곳이다. 낡은 산업단지를 근로자들이 쾌적하게 일할 수 있는 곳으로 바꾸자는 취지였다. 그 결과 직원 채용도 쉬워졌다.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한 P&P클러스터의 최우영 사장(53)은 “대표적 뿌리산업인 도금과 PCB 표면처리업체의 작업환경 개선으로 고용이 20% 이상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노후단지 개선을 주도하고 있는 강남훈 산단공 이사장은 “낡은 산업단지를 바꿔야 젊은이들이 몰려올 것”이라며 “소각장 폐열을 활용하고 폐수를 공동으로 처리하면 기업들의 국제 가격경쟁력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P&P센터 입주업체 관계자는 “직원들은 월급을 올려주면 한 달 정도 기분이 좋지만 작업환경이 좋아지면 근무기간 내내 자부심을 느끼고 일한다”며 “쾌적한 작업환경은 근로자를 위한 최선의 복지”라고 말했다.
안산=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