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처분 소득에서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인 138%까지 치솟으면서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가계부채(금융회사 대출과 카드회사의 판매신용까지 포괄한 가계신용 기준)는 1089조원으로 개인 가처분 소득(순처분가능소득·NDI 기준)의 138.0%에 달했다. 이 비율은 2004년 100.8%까지 떨어졌다가 2005년(105.5%) 이후 10년간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는 가계의 재정 위험을 나타내는 척도다. 일정 기간 개인이 번 가처분 소득으로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 지표는 더욱 빠르게 악화됐다. 정부가 부동산 금융규제를 푼 데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두 차례 내리면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했다. 작년 말 주택담보대출은 460조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42조5000억원(10.2%)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계신용(1089조원) 증가분의 63%를 차지한다.

자금순환 통계 기준으로 개인 부문(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가처분 소득 대비 금융부채를 집계해보니 지난해 164.2%에 달했다. 2011년 157.8%에서 매년 높아져 이번에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115.1%) 일본(133.5%)을 비롯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지난해 평균(135.7%)보다 훨씬 높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