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대투증권은 27일 한국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참여에 대해 신(新) 실크로드 프로젝트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소재용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AIIB 참여를 공식화 한 것은 우리 금융시장에도 상당한 호재로 인식될 것"이라며 "중국의 정부지출을 함께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화학, 석유정제, 철강 등 전통산업에 우호적인 재료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AIIB는 자본금 1000억 달러 규모로 참여한 아시아 국가들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만 전세계의 3분의 1 수준이다.

소 연구원은 "AIIB의 궁극적인 목적인 신 실크로드 경제권은 유라시아 대륙뿐 만 아니라 중동과 아프리카에 걸친 20조 달러에 달하는 대형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햇다.

프로젝트 구상 단계에서 구체적인 경제효과의 윤곽을 잡기는 어렵지만, 중장기적인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하다는 것.

소 연구원은 "인프라 투자로 인한 승수효과와 후방효과를 고려하면 상당한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며 "아시아 지역의 막대한 인구, 빠른 도시화, 교역·물류·유통의 확대 등을 감안하면 철도, 도로, 항구, 공항, 에너지 등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자가 초기에 계획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 "다만 중국의 기술력 향상에 따른 경쟁 심화 및 동아시아를 둘러싼 정치적 변수들에 대해서는 꾸준한 관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