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김일성 퇴진說…외교부, 김정일 승계 대비했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밀 해제 외교문서 공개
정부가 1984년 김일성 북한 주석의 퇴임에 대비해 구체적인 계획을 준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외교부가 30일 ‘외교문서 공개에 관한 규칙’에 따라 공개한 비밀 해제 문건에 따르면 1984년 6월23일 주일 한국대사관 정무과장은 김일성이 방문했던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의 외무부 고위 관리로부터 ‘김일성이 은퇴하고 김정일이 주석이 될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는 1984년 7월11일 박세직 당시 안전기획부 제2차장 주재 아래 관계 부처 간 합동 실무국장회의를 열고 김일성 생존시와 사망시 두 경우로 나눠 김정일 권력 승계와 관련한 대북 성명 골자를 마련했다.
국방정보본부는 1984년 7월10일 작성한 ‘김정일 권력 승계에 따른 대남도발 위험성 판단 및 대비책’ 문건에서 “1988년 한·미 대통령 선거기, 1988년 올림픽 개최 및 북한군 훈련 양상 등의 면에서 1988년 4월이 가장 취약하다”며 북한이 대남 무력 도발을 감행할 시기를 예상했다. 그러나 김일성이 1994년 사망하기 이전까지 김정일에게 공식적인 정권 이양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날 공개된 외교문서에는 정부가 1984년 과거사와 관련해 대일 외교를 펼친 사실도 드러났다. 한·일 양국은 1983년 1월 나카소네 야스히로 당시 일본 총리가 방한했을 때 열린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 간 직통 회선 개설에 합의했다. 이듬해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추진하면서 일왕이 과거사 반성 문제를 언급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걸었고 일본의 유감 표명을 얻어냈다. 히로히토 일왕은 그해 9월 전 대통령과의 만찬에서 “양국 간 불행한 역사가 있었던 것은 진심으로 유감이며 다시는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국방정보본부는 1984년 7월10일 작성한 ‘김정일 권력 승계에 따른 대남도발 위험성 판단 및 대비책’ 문건에서 “1988년 한·미 대통령 선거기, 1988년 올림픽 개최 및 북한군 훈련 양상 등의 면에서 1988년 4월이 가장 취약하다”며 북한이 대남 무력 도발을 감행할 시기를 예상했다. 그러나 김일성이 1994년 사망하기 이전까지 김정일에게 공식적인 정권 이양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날 공개된 외교문서에는 정부가 1984년 과거사와 관련해 대일 외교를 펼친 사실도 드러났다. 한·일 양국은 1983년 1월 나카소네 야스히로 당시 일본 총리가 방한했을 때 열린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 간 직통 회선 개설에 합의했다. 이듬해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추진하면서 일왕이 과거사 반성 문제를 언급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걸었고 일본의 유감 표명을 얻어냈다. 히로히토 일왕은 그해 9월 전 대통령과의 만찬에서 “양국 간 불행한 역사가 있었던 것은 진심으로 유감이며 다시는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