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완전경쟁시장에서 어느 기업의 단기비용곡선이다. 제품의 시장 가격이 90원으로 주어졌을 때 이 기업의 생산 결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단기비용곡선
(1) 이 기업은 생산을 하지 않는다.
(2) 이 기업은 150개보다 많은 양을 생산한다.
(3) 균형점에서 이 기업의 한계비용은 90원 보다 작다.
(4) 균형점에서 이 기업의 한계수입은 90원 보다 크다.
(5) 이 기업은 생산을 함으로써 초과 이윤을 얻을 수 있다.


[해설] 완전경쟁시장은 같은 상품을 취급하는 수많은 공급자·수요자가 존재하는 시장이다. 시장 참여자는 가격의 수용자일 뿐 가격 결정에 전혀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다. 기업들은 자유롭게 시장에 진입하거나 퇴출할 수 있다.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이윤은 P(가격)=AR(평균수입)=MC(한계비용)인 균형점에서 극대화된다.

그래프에서 이 기업의 평균가변비용의 최소점은 80원이다. 시장가격이 90원으로 평균가변비용을 충당할 수 있어 이 기업은 계속해서 생산을 한다. 균형점(P=AR=MC=90원)에서 이윤을 얻을 수 있는지는 고정비용의 크기에 달려 있으므로 위 그래프만으로는 알 수 없다.

정답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