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0명중 8명 "70세는 돼야 노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건복지부 실태 조사
무료 조기 치매검진 만 60세 이상, 노령연금 수령 개시 만 61세, 전철 요금 무료 만 65세 이상.
한국의 주요 복지정책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인의 연령 기준이다. 보건복지부는 31일 ‘2014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노인정책 연령을 실제 국민 인식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만 65세 이상 노인 1만명을 심층 면접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78.3%가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2004년 조사에선 응답자의 55.5%만이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봤다.
이번 조사에서 노인의 기준이 ‘75세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31.6%에 달했다. 2004년(8.6%)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다. 반면 65~69세가 노인이라는 응답은 2004년 30.8%에서 18.0%로 크게 줄었다. 64세 이하라고 응답한 비율은 13.5%에서 3.7%까지 떨어졌다. 실태조사를 벌인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령화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인에 대한 인식이 과거와는 크게 달라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노인의 나이를 정해놓은 국내 법은 없다. 하지만 만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분류하는 정책이 많다. 기초연금(연간 예산 10조원)이나 노인장기요양보험(3조5000억원) 적용 시기가 대표적이다. 무료 조기 치매검진과 노인 복지관 이용은 만 60세 이상부터 가능하다.
세종=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한국의 주요 복지정책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인의 연령 기준이다. 보건복지부는 31일 ‘2014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노인정책 연령을 실제 국민 인식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만 65세 이상 노인 1만명을 심층 면접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78.3%가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2004년 조사에선 응답자의 55.5%만이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봤다.
이번 조사에서 노인의 기준이 ‘75세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31.6%에 달했다. 2004년(8.6%)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다. 반면 65~69세가 노인이라는 응답은 2004년 30.8%에서 18.0%로 크게 줄었다. 64세 이하라고 응답한 비율은 13.5%에서 3.7%까지 떨어졌다. 실태조사를 벌인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령화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인에 대한 인식이 과거와는 크게 달라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노인의 나이를 정해놓은 국내 법은 없다. 하지만 만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분류하는 정책이 많다. 기초연금(연간 예산 10조원)이나 노인장기요양보험(3조5000억원) 적용 시기가 대표적이다. 무료 조기 치매검진과 노인 복지관 이용은 만 60세 이상부터 가능하다.
세종=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