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글로벌 M&A '광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기 인수합병 952억弗로 70% 급증
거품논란에도 몸값 천정부지
거품논란에도 몸값 천정부지
지난 2일 존슨앤드존슨, 화이자, 애브비 등 글로벌 제약사의 최고경영자(CEO)들이 백혈병 치료제 개발회사 파머시클릭스가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를 찾았다. 막바지에 이른 인수전을 진두지휘하기 위해서였다. 결과는 210억달러의 인수 가격을 제시한 애브비의 승리였다. 액수가 공개되면서 파머시클릭스의 주가는 266달러로 18% 수직 상승했다. 올해 124달러에서 출발한 주가는 두 배 이상 솟구쳤다.
글로벌 M&A 달구는 제약업계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글로벌 인수합병(M&A)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31일 톰슨로이터 자료를 인용, 1분기 바이오 부문의 M&A 규모가 95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했다고 전했다. 업종별 비중에서도 12%로 통신, 부동산, 원자재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금액 기준 상위 10건의 M&A도 파머시클릭스를 포함해 4건이 바이오 업종에서 나왔다. 화이자가 바이오시밀러(복제약품) 전문업체 호스피라를 168억달러에 사들였고, 캐나다 제약사 밸리언트는 위장약 전문회사인 미국의 살릭스를 지난 3월 158억달러에 인수했다. 미국 의료서비스 회사인 유나이티드헬스는 카타마란을 128억달러에 사들였다. 이 회사는 병원처방전 약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며 약국의 수익관리를 대행하는 회사다.
30일에는 카타마란 인수를 포함해 4건의 바이오 관련 M&A가 동시다발적으로 발표됐다. 아일랜드 제약사인 호라이즌 파마가 희귀병 치료법으로 유명한 미국 히페리온을 11억달러의 현금을 주고 사들이기로 한 데 이어 이스라엘 제약회사 테바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로 유명한 미국 아스펙스 파마를 35억달러에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후지필름도 미국의 생명공학업체 셀룰러 다이내믹스인터내셔널을 3억7000만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하루에만 4건의 대형 M&A가 나왔다는 사실만으로 바이오산업이 얼마나 빨리 재편되는지 단적으로 알 수 있다”고 전했다.
거품 논란에도 인수 가격 급등
바이오기업은 가격 거품 논란에도 불구하고 향후 캐시카우가 될 의약품과 특허 확보를 위해 보유현금을 아낌없이 쏟아붓고 있다.
FT는 대형화와 글로벌화 추세 속에서 기업이 ‘먹느냐, 먹히느냐’의 위기감에 사로잡혀 있다며 주력 판매 약품의 특허 기간이 끝나기에 앞서 성장 가능성이 큰 유망 약품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베팅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에서는 신약의 시장 가치를 감안할 때 인수 가격이 과도한 게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파머시클릭스는 백혈병 치료제 ‘임브루비카’가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으며 연간 판매액이 5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호스피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규모는 2020년 2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
이날 뉴욕 증시 나스닥지수도 바이오기업의 M&A가 시장을 달구면서 지수를 1.15% 끌어올렸다. 지난주 바이오기업 주가 거품 논란으로 2.7% 급락한 지수를 하루 만에 절반가량 만회한 것이다. 나스닥의 바이오테크지수는 최근 1년간 50%, 올 들어서만 15% 올랐다.
기업 M&A를 자문하는 로펌 굿윈프록터의 한 변호사는 WSJ에 “시장 수요가 확실한 획기적인 신약이 계속 나오는 한 바이오업계 M&A 열기는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
글로벌 M&A 달구는 제약업계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글로벌 인수합병(M&A)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31일 톰슨로이터 자료를 인용, 1분기 바이오 부문의 M&A 규모가 95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했다고 전했다. 업종별 비중에서도 12%로 통신, 부동산, 원자재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금액 기준 상위 10건의 M&A도 파머시클릭스를 포함해 4건이 바이오 업종에서 나왔다. 화이자가 바이오시밀러(복제약품) 전문업체 호스피라를 168억달러에 사들였고, 캐나다 제약사 밸리언트는 위장약 전문회사인 미국의 살릭스를 지난 3월 158억달러에 인수했다. 미국 의료서비스 회사인 유나이티드헬스는 카타마란을 128억달러에 사들였다. 이 회사는 병원처방전 약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며 약국의 수익관리를 대행하는 회사다.
30일에는 카타마란 인수를 포함해 4건의 바이오 관련 M&A가 동시다발적으로 발표됐다. 아일랜드 제약사인 호라이즌 파마가 희귀병 치료법으로 유명한 미국 히페리온을 11억달러의 현금을 주고 사들이기로 한 데 이어 이스라엘 제약회사 테바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로 유명한 미국 아스펙스 파마를 35억달러에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후지필름도 미국의 생명공학업체 셀룰러 다이내믹스인터내셔널을 3억7000만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하루에만 4건의 대형 M&A가 나왔다는 사실만으로 바이오산업이 얼마나 빨리 재편되는지 단적으로 알 수 있다”고 전했다.
거품 논란에도 인수 가격 급등
바이오기업은 가격 거품 논란에도 불구하고 향후 캐시카우가 될 의약품과 특허 확보를 위해 보유현금을 아낌없이 쏟아붓고 있다.
FT는 대형화와 글로벌화 추세 속에서 기업이 ‘먹느냐, 먹히느냐’의 위기감에 사로잡혀 있다며 주력 판매 약품의 특허 기간이 끝나기에 앞서 성장 가능성이 큰 유망 약품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베팅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에서는 신약의 시장 가치를 감안할 때 인수 가격이 과도한 게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파머시클릭스는 백혈병 치료제 ‘임브루비카’가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으며 연간 판매액이 5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호스피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규모는 2020년 2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
이날 뉴욕 증시 나스닥지수도 바이오기업의 M&A가 시장을 달구면서 지수를 1.15% 끌어올렸다. 지난주 바이오기업 주가 거품 논란으로 2.7% 급락한 지수를 하루 만에 절반가량 만회한 것이다. 나스닥의 바이오테크지수는 최근 1년간 50%, 올 들어서만 15% 올랐다.
기업 M&A를 자문하는 로펌 굿윈프록터의 한 변호사는 WSJ에 “시장 수요가 확실한 획기적인 신약이 계속 나오는 한 바이오업계 M&A 열기는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