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協 "분양가 인상 자제해 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장 활황·상한제 폐지 겹치자 건설회사들에 협조 요청
한국주택협회가 과도한 분양가 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건설회사에 요청했다.
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 주택건설 업체들의 모임인 한국주택협회는 지난달 말 66개 회원사에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에 따른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협회는 이 공문에서 “최근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 청약제도 규제 개선 등에 따라 주택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과도한 분양가 책정이 현실화될 경우 정부가 다시 분양가 규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아파트 과잉 공급을 자제해 달라는 내용도 담았다. 연초부터 건설사의 아파트 분양이 집중적으로 몰리는 것에 대해 건설업계 스스로 후폭풍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협회는 “과잉 공급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주택가격 하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회복 추세에 있는 주택시장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주택협회 관계자는 “과도한 분양가 인상과 주택 과잉 공급이 결국 규제 도입과 시장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업계 스스로 막아보자는 것”이라며 “욕심이 부메랑이 되지 않도록 자정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공문을 발송했다”고 말했다. 중소 주택건설 업체의 모임인 대한주택건설협회도 지난달 말 열린 정기총회에서 협회 회장단이 회원사에 분양가 인상 자제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 주택건설 업체들의 모임인 한국주택협회는 지난달 말 66개 회원사에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에 따른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협회는 이 공문에서 “최근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 청약제도 규제 개선 등에 따라 주택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과도한 분양가 책정이 현실화될 경우 정부가 다시 분양가 규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아파트 과잉 공급을 자제해 달라는 내용도 담았다. 연초부터 건설사의 아파트 분양이 집중적으로 몰리는 것에 대해 건설업계 스스로 후폭풍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협회는 “과잉 공급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주택가격 하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회복 추세에 있는 주택시장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주택협회 관계자는 “과도한 분양가 인상과 주택 과잉 공급이 결국 규제 도입과 시장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업계 스스로 막아보자는 것”이라며 “욕심이 부메랑이 되지 않도록 자정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공문을 발송했다”고 말했다. 중소 주택건설 업체의 모임인 대한주택건설협회도 지난달 말 열린 정기총회에서 협회 회장단이 회원사에 분양가 인상 자제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