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특수 오나] 사우디 등 중동 '핵무장 도미노'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왜 유독 이란과 협상 열 올렸나
핵 개발을 놓고 국제사회와 갈등을 빚고 있는 대표적 ‘불량국가’는 북한과 이란이다. 그러나 차이점이 있다. 북한은 2006년 이후 세 차례의 핵실험을 강행했다. 2003년엔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해 공공연히 핵보유국임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이란은 핵무기 개발 의심단계로 분류된다. 전력과 의료 등 평화적인 목적의 개발이라고 주장한다. 다만 국제사회는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두 나라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은 ‘대화’(이란)와 ‘압박’(북한)으로 갈린다. 이란의 경우 국제사회 노력으로 핵무기 개발을 막을 수 있다는 판단이지만, 북한은 협상을 통한 해결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미국이 이란 핵문제 해결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데는 지정학적 요인도 작용하고 있다. 이란의 핵 개발은 이스라엘의 공격을 촉발해 중동 지역 전체가 ‘화약고’가 될 가능성이 있다. 또 시아파 국가인 이란이 핵으로 무장하면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수니파 국가들도 잇따라 핵개발에 나설 수 있다.
현재 NPT 체제에서 인정하는 핵무기 보유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5개국뿐이다. 이들 은 1970년 발효된 NPT 체제를 통해 추가 핵보유국의 등장을 막아왔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NPT 체제에서 공식 인정은 못 받았지만 실질적인 핵보유국으로 분류된다. 이스라엘도 핵탄두를 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옛 소련에 속했던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등은 한때 핵무기를 보유했지만 비핵화로 돌아섰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
두 나라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은 ‘대화’(이란)와 ‘압박’(북한)으로 갈린다. 이란의 경우 국제사회 노력으로 핵무기 개발을 막을 수 있다는 판단이지만, 북한은 협상을 통한 해결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미국이 이란 핵문제 해결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데는 지정학적 요인도 작용하고 있다. 이란의 핵 개발은 이스라엘의 공격을 촉발해 중동 지역 전체가 ‘화약고’가 될 가능성이 있다. 또 시아파 국가인 이란이 핵으로 무장하면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수니파 국가들도 잇따라 핵개발에 나설 수 있다.
현재 NPT 체제에서 인정하는 핵무기 보유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5개국뿐이다. 이들 은 1970년 발효된 NPT 체제를 통해 추가 핵보유국의 등장을 막아왔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NPT 체제에서 공식 인정은 못 받았지만 실질적인 핵보유국으로 분류된다. 이스라엘도 핵탄두를 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옛 소련에 속했던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등은 한때 핵무기를 보유했지만 비핵화로 돌아섰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