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2일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포함한 혁신안을 안건으로 의원총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자체에는 찬성 의견이 많았지만 실현 가능성이나 방법론에서 반대 의견을 나타낸 의원도 적지 않아 당론 확정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은 2일 의총에서 “새누리당 단독으로라도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 당의 의지”라고 주장했다.

의원총회가 비공개로 전환된 뒤 발언권을 얻은 19명의 의원은 김 위원장 주장에 대해 오픈 프라이머리의 취지에는 찬성하지만 조직 동원 선거가 더 심해질수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 프라이머리가 법적으로 보장돼야만 효력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과 함께 여야 동시에 오픈 프라이머리를 하지 않으면 역선택 등 부작용이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회의를 참관한 의원실의 한 보좌관은 “예비선거 전부터 선거 출마 준비가 치열해지면서 조직을 총동원하는 선거로 변질될 수 있고, 정치 신인이 불리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전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오픈 프라이머리를 우리 단독으로 할 이유가 없고, 새정치민주연합도 전당대회에서 상향식 공천을 약속했지 않느냐”며 “(다음) 의총에서 당론을 확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결론이 안 났고 개혁안은 아직 당론으로 채택된 것이 아니다”며 “이르면 다음주에 의원총회를 다시 열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3월 중에 활동을 끝내기로 했던 보수혁신위원회도 연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안형환 혁신위 간사는 “회의를 더 해야 할 것 같다”며 “혁신위 안에 대해 모두 찬성을 이끌어내기 어려운 만큼 소주제별로 카테고리를 나눠서 다음 의원총회에서 부분적으로 찬성과 반대를 물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