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은 결혼으로 높아진 삶의 만족도가 2년이면 결혼 이전으로 돌아간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고려대 국제학부 로버트 루돌프 교수와 경제학과 강성진 교수의 공동 연구 결과



결혼에 대한 만족도는 여성의 경우 2년 후 사라지지만 남성의 경우 결혼 생활 내내 지속된다는 것.



루돌프 교수팀이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 1천명의 첫 결혼 전후와



200명의 이혼 전후 이력을 조사했더니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결혼 한 해 삶의 만족도는 1을 최대치로 설정했을 때 남성의 경우 0.3 단위, 여성의 경우 0.25 단위가 각각 증가했다.



이같은 증가치는 여성의 경우 2년 후 대부분 도로 줄어 행복감이 결혼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지만,



남성은 결혼 생활 내내 결혼 전보다 0.15∼0.2 단위 높은 수준을 유지해 행복함이 지속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아울러 부부가 이혼이나 사별을 했을 경우 남성은 여성에 비해 행복지수가 급격히 하락했고,



여성과 다르게 상실감에서 쉽게 헤어나오지 못하는 경향이 발견됐다고 덧붙였다.



루돌프 교수는 "한국 부부들이 결혼으로 발생하는 이득을 동등하게 배분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높은 성 불평등 때문일 것"이라며



"이와 달리 영국과 독일의 경우 결혼을 통한 이득이 동등하게 배분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있다"고 설명했다.


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복면가왕 솔지vs하니, 완벽 19禁 몸매 관리 비법은? `깜짝 공개`
ㆍ배우 박병선은 누구?.. `무인시대 여인천하` 열연으로 호평
ㆍ죽어도 못외우던 영어, 3주만에 3천개 다외워..
ㆍ띠과외 작가 예원 옹호 발언....이태임-예원 공식입장 후에도 논란 이유는?
ㆍ`리얼극장` 서갑숙 제주도 근황 공개, 영화 봉자에서 심이영과 19禁 파격노출 `후끈`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