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株, 8년 만의 분양가 상한제 자율화…비중확대-하나대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나대투증권은 7일 건설업종에 대해 8년 만의 분양가 상한제 자율화로 새로운 성장동력이 나타났다면서 업종내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업종내 최선호주로는 현대건설을 차선호주로는 대우건설, GS건설을 제시했다.
이 증권사 채상욱 애널리스트는 "건설업종의 주요 투자포인트와 선호도는 주택이지만 현대건
설은 주택과 해외라는 수익원 모두를 확보하고 있고, 중장기 성장성이 높기 때문에 최선호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채 애널리스트는 "건설업종이 해외 부담 속에 주택이라는 신 성장원이 나타났다"면서 "주택 6사의 분양목표는 13.8만가구로 전년대비 80% 증가했고 지난 1일부터 분양가 상한제 자율화가 시행되면서 실적 개선 여지가 커졌다"고 판단했다.
저유가 등으로 해외 시장 수주 우려가 큰 상황에서도 장기적 측면의 이란과 독립국가연합(CIS) 등 신규시장의 확대가 기대돼 건설업종의 디스카운트(저평가)를 해소시킬 요인이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채 애널리스트는 "지난 1분기 실적에서 아직 주택 부문의 실적 개선을 바라기는 이른 상황이지만 해외 주요 쟁점 현장의 비용 반영이 추가로 나타나지는 않을 전망이라 긍정적"이라며 "상반기 중 손실 반영과 환입 이슈로 실적이 급변할 가능성이 낮다"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최성남 기자 sulam@hankyung.com
이 증권사 채상욱 애널리스트는 "건설업종의 주요 투자포인트와 선호도는 주택이지만 현대건
설은 주택과 해외라는 수익원 모두를 확보하고 있고, 중장기 성장성이 높기 때문에 최선호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채 애널리스트는 "건설업종이 해외 부담 속에 주택이라는 신 성장원이 나타났다"면서 "주택 6사의 분양목표는 13.8만가구로 전년대비 80% 증가했고 지난 1일부터 분양가 상한제 자율화가 시행되면서 실적 개선 여지가 커졌다"고 판단했다.
저유가 등으로 해외 시장 수주 우려가 큰 상황에서도 장기적 측면의 이란과 독립국가연합(CIS) 등 신규시장의 확대가 기대돼 건설업종의 디스카운트(저평가)를 해소시킬 요인이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채 애널리스트는 "지난 1분기 실적에서 아직 주택 부문의 실적 개선을 바라기는 이른 상황이지만 해외 주요 쟁점 현장의 비용 반영이 추가로 나타나지는 않을 전망이라 긍정적"이라며 "상반기 중 손실 반영과 환입 이슈로 실적이 급변할 가능성이 낮다"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최성남 기자 sul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