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금속노조 현대차지부)를 비롯한 울산지역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 50여개 노조가 24일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찬성이 전체 조합원의 절반을 넘지 못했다. 민주노총은 전국 지역본부의 투표 결과를 모두 합산해 총파업을 결의할 가능성이 높지만 현대차 등 핵심 노조의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파업 동력을 얻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9일 현대차 노조 등에 따르면 민주노총 울산본부 전체 조합원 4만3000명 가운데 2만9390명(투표율 68.3%)이 투표에 참여, 찬성이 재적 대비 43.92%(1만8886명)로 나타났다. 총파업을 원치 않는 현대차 울산공장 조합원들의 표심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현대차 울산공장 조합원은 2만4500명으로 민주노총 울산본부 조합원 4만3000명의 60%를 차지한다. 현대차 노조는 1996년 노동법 개정, 2006년 민주노총 파업, 2008년 미국산 소고기 반대 등 정치적 이슈가 있을 때마다 정치파업에 앞장서왔지만 2000년대 말부터는 정치파업에 대한 조합원의 반대표가 찬성표보다 많아지면서 간부 파업으로 대체되고 있다. 현대차는 조합원 투표에 앞서 “자유무역협정 반대 파업이나 소고기 파업 등 지금까지의 정치파업이 우리에게 남긴 것은 생산 및 임금 손실, 고객 실망과 원성뿐이었으며 현대차의 파업을 반기는 곳은 무책임한 노조 상급 단체와 경쟁사뿐”이라고 파업 자제를 호소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