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파문] 여 '이 총리 거취' 딜레마…"야 특검 요구 땐 받을 준비 돼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성, 3천만원 전달" 녹취록 공개에 긴급 최고위
"당 존립 흔들 메가톤급 폭풍" 위기감 고조
"직무정지, 법적으로 안돼"…일각선 사퇴론
"당 존립 흔들 메가톤급 폭풍" 위기감 고조
"직무정지, 법적으로 안돼"…일각선 사퇴론
이완구 국무총리가 기로에 섰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자살 직전 남긴 메모에서 이 총리의 이름이 나온 데 이어 14일에는 성 전 회장이 이 총리에게 3000만원을 건넸다고 주장하는 녹취록이 공개됐다. 여권 일각에서도 “이 총리가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날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이 총리 거취 문제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사실 아니면 그만둘 이유 없어”
새누리당은 비상 상태에 빠졌다. ‘성완종 리스트’의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현직 총리의 금품수수 의혹까지 번지자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책을 논의했다. 2주 앞으로 다가온 재·보궐선거가 타격을 입을 뿐 아니라 당의 존립 자체를 뒤흔들 메가톤급 폭풍이라는 데 최고위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 자리에서는 이 총리의 거취와 관련, 이대로 넘어갈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회의가 끝난 뒤 ‘이 총리가 총리직을 유지한 채 검찰 수사를 받는 게 적절하냐’는 질문에 “그 문제도 깊이 고민했다”며 “일단 그 문제는 입장 정리를 못했다”고 말했다.
또 야당의 이 총리 사퇴 요구와 관련해 “(회의에서) 사퇴 요구 얘기까지 명시적으로 나오지는 않았는데 고민한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이 총리 거취 문제를 논의했다는 얘기다. 유 원내대표는 다만 “일부 언론에서 얘기하는 총리 직무 정지는 법적으로 없다”고 했다.
특검과 관련해서는 “야당이 요구하면 언제든지 받을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 문제로 야당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뜻이다. 그는 “다만 특검을 당장 하자고 주장하지 않는 이유는 특검이 수사를 시작할 때까지 최대 두 달 정도의 시간이 걸리므로 일단 검찰 수사를 다시 한 번 촉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 총리의 사퇴 여부에 대해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면 그만둘 이유가 없지 않느냐”며 “만약 그런 일이 있으면 거취를 표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고위 관계자는 회의 결과에 대해 “조사를 먼저 받고 문제가 있다면 그때 거취를 결정하라는 뜻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고위 관계자는 “박근혜 대통령의 중남미 순방을 위한 출국(16일)을 앞두고 이 총리가 그만두면 국정운영에 차질이 오고, 총리직을 유지한 채 조사받는 것도 모양새가 좋지 않아 당으로선 딜레마”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부정부패·비리 연루자를 절대로 비호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총리직 수행 타격받을 듯
이 총리는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수사를 받겠다”고 말했다. 그는 “총리 이전에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명예가 있다”며 “한 분의 근거 없는 메모 내지 진술로 막중한 총리직을 놓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고 했다. 또 “(성 전 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고 했다.
이 총리가 수사에 응하겠다고 한 만큼 헌정 사상 최초로 현직 총리가 검찰에 출두하는 ‘정치적 수모’를 겪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된 자체만으로도 총리직 수행에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총리는 대국민 담화를 직접 발표하며 ‘부패와의 전쟁’을 선언했다. 하지만 잇단 의혹 제기로 국정 과제를 수행하는 데 상당한 동력을 잃게 됐다는 지적이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사실 아니면 그만둘 이유 없어”
새누리당은 비상 상태에 빠졌다. ‘성완종 리스트’의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현직 총리의 금품수수 의혹까지 번지자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책을 논의했다. 2주 앞으로 다가온 재·보궐선거가 타격을 입을 뿐 아니라 당의 존립 자체를 뒤흔들 메가톤급 폭풍이라는 데 최고위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 자리에서는 이 총리의 거취와 관련, 이대로 넘어갈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회의가 끝난 뒤 ‘이 총리가 총리직을 유지한 채 검찰 수사를 받는 게 적절하냐’는 질문에 “그 문제도 깊이 고민했다”며 “일단 그 문제는 입장 정리를 못했다”고 말했다.
또 야당의 이 총리 사퇴 요구와 관련해 “(회의에서) 사퇴 요구 얘기까지 명시적으로 나오지는 않았는데 고민한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이 총리 거취 문제를 논의했다는 얘기다. 유 원내대표는 다만 “일부 언론에서 얘기하는 총리 직무 정지는 법적으로 없다”고 했다.
특검과 관련해서는 “야당이 요구하면 언제든지 받을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 문제로 야당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뜻이다. 그는 “다만 특검을 당장 하자고 주장하지 않는 이유는 특검이 수사를 시작할 때까지 최대 두 달 정도의 시간이 걸리므로 일단 검찰 수사를 다시 한 번 촉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 총리의 사퇴 여부에 대해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면 그만둘 이유가 없지 않느냐”며 “만약 그런 일이 있으면 거취를 표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고위 관계자는 회의 결과에 대해 “조사를 먼저 받고 문제가 있다면 그때 거취를 결정하라는 뜻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고위 관계자는 “박근혜 대통령의 중남미 순방을 위한 출국(16일)을 앞두고 이 총리가 그만두면 국정운영에 차질이 오고, 총리직을 유지한 채 조사받는 것도 모양새가 좋지 않아 당으로선 딜레마”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부정부패·비리 연루자를 절대로 비호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총리직 수행 타격받을 듯
이 총리는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수사를 받겠다”고 말했다. 그는 “총리 이전에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명예가 있다”며 “한 분의 근거 없는 메모 내지 진술로 막중한 총리직을 놓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고 했다. 또 “(성 전 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고 했다.
이 총리가 수사에 응하겠다고 한 만큼 헌정 사상 최초로 현직 총리가 검찰에 출두하는 ‘정치적 수모’를 겪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된 자체만으로도 총리직 수행에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총리는 대국민 담화를 직접 발표하며 ‘부패와의 전쟁’을 선언했다. 하지만 잇단 의혹 제기로 국정 과제를 수행하는 데 상당한 동력을 잃게 됐다는 지적이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