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는 성장 윤활유 아니다"
곽형석 권익위 부패방지국장은 이날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반부패·청렴사회 구현을 위한 국제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보상금은 부정·부패 신고로 부정한 자금이 국고로 환수됐을 때 환수 금액에 비례해 지급하는 돈으로, 지급 규모는 ‘부패 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 시행령을 준용하도록 했다. 곽 국장은 “국고 환수액과 상관없이 부패 신고자에게 돈을 지급하는 포상금의 규모는 최대 2억원”이라고 설명했다.
김영란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기조연설자로 나서 “숨 가쁘게 성장을 향해 달려오다 성장이 멈추고 나면 그동안 볼 수 없었던 각종 부조리한 사회 현상이 드러나는 경험을 우리는 충분히 했다”며 “질을 외면한 성장과 부풀려진 성장이 남긴 여러 문제가 지금도 우리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패가 성장의 윤활유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신영무 바른사회운동연합 상임대표는 심포지엄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성완종 스캔들이 보여주듯 사업가든 일반 시민이든 권력자에게 로비를 벌이면 나라가 어떻게 되겠느냐”며 “법치주의의 핵심인 반부패법을 통해 한국이 선진사회로 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사로 참석한 지 캐넌 싱가포르 부패조사청 수석검사는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정치권 로비 사건에의 의견을 묻는 질문에 “중요한 것은 법을 일반인, 정부 고위직 공무원, 국회의원에게 모두 다 공평하게 적용해야 하는 것”이라며 “지난 50여년간 반부패운동을 강력하게 추진해온 싱가포르에선 금품을 받은 당사자를 수사할 때 처음부터 대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답했다. 국내에선 뇌물죄를 적용하려면 검사가 대가성을 입증해야 한다.
김인선 기자 ind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