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M버스'도 요금인상 할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과 경기도의 버스 요금이 오르면 'M버스'로 불리는 수도권 광역 급행버스 요금도 따라 오를 전망이다.
국토교통부 권병윤 종합교통정책관은 17일 "광역버스의 84%를 직행좌석형 버스(빨간 버스)가 차지하므로 지자체가 요금을 올리면 M버스 요금도 그만큼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역버스엔 지자체가 담당하는 빨간 버스와 국토부가 담당하는 M버스가 있다. M버스의 기본요금은 2000원이며 이후 5㎞마다 100원씩 올라간다.
빨간 버스 요금은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다. 버스준공영제를 실시하는 서울시 요금은 1850원, 경기도는 2000원, 인천시는 2500원이다. 서울·경기·인천 3개 지자체는 올 상반기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는 빨간 버스 요금 450원 인상, 경기도는 400원 또는 500원 인상안을 각각 서울시의회와 경기도의회에 요청한 상태다. 인천시는 빨간 버스 요금은 그대로 두고 시내버스 요금 인상만 추진하고 있다.
권 정책관은 "지자체가 직행좌석형 버스(빨간 버스) 요금을 올리는데 M버스 요금을 그대로 두면 승객이 M버스로만 몰리지 않겠느냐"며 "지자체 결정에 따라 M버스 요금도 같은 수준으로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6월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는 M버스 기본요금을 2000원에서 3000원으로 올려달라며 국토부에 요금조정을 신청한 바 있다. 당시 국토부는 M버스 요금 인상 방안을 검토했지만 결론을 내지 않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국토교통부 권병윤 종합교통정책관은 17일 "광역버스의 84%를 직행좌석형 버스(빨간 버스)가 차지하므로 지자체가 요금을 올리면 M버스 요금도 그만큼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역버스엔 지자체가 담당하는 빨간 버스와 국토부가 담당하는 M버스가 있다. M버스의 기본요금은 2000원이며 이후 5㎞마다 100원씩 올라간다.
빨간 버스 요금은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다. 버스준공영제를 실시하는 서울시 요금은 1850원, 경기도는 2000원, 인천시는 2500원이다. 서울·경기·인천 3개 지자체는 올 상반기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는 빨간 버스 요금 450원 인상, 경기도는 400원 또는 500원 인상안을 각각 서울시의회와 경기도의회에 요청한 상태다. 인천시는 빨간 버스 요금은 그대로 두고 시내버스 요금 인상만 추진하고 있다.
권 정책관은 "지자체가 직행좌석형 버스(빨간 버스) 요금을 올리는데 M버스 요금을 그대로 두면 승객이 M버스로만 몰리지 않겠느냐"며 "지자체 결정에 따라 M버스 요금도 같은 수준으로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6월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는 M버스 기본요금을 2000원에서 3000원으로 올려달라며 국토부에 요금조정을 신청한 바 있다. 당시 국토부는 M버스 요금 인상 방안을 검토했지만 결론을 내지 않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