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쌀 7만7000t을 사들이기로 했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쌀 수급 안정대책’을 논의해 24일 발표했다. 현재 시장 수요를 초과하는 6만을 다음달부터 정부 예산으로 추가 수매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별도로 정부는 지난해 매입 예정이었던 18만 중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수매하지 않고 반납한 1만7000t도 사들이기로 했다.

당초 정부는 지난해 쌀 생산량을 418만으로 예상, 수요량(400만t)을 넘어서는 18만t의 수매를 추진했다. 하지만 수확기 이후 실제 쌀 생산량이 424만t이나 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쌀 재고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농민단체는 6만t의 추가 수매를 요구했고 당정이 이를 받아들이기로 한 것이다.

원유철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은 “시중에 쌀 재고가 많아 쌀값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시장 안정을 위해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쌀값은 지난주 80㎏당 15만9300원으로 농민들의 심리적 저지선인 16만원대가 무너진 상태다. 전년 동기 대비 6.8% 낮은 가격이다.

사들인 쌀은 쌀값이 안정될 때까지 정부 창고에 보관해 시장에서 격리할 계획이다. 추가 수매를 위한 비용 5000억원가량은 일단 농협중앙회 자금을 쓰고 2016년 이후 정부 예산에 반영하기로 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