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 포인트] 선제적 '기업 빅딜' 이어져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상무 < 딜로이트안진 부대표 >
![[이슈 & 포인트] 선제적 '기업 빅딜' 이어져야](https://img.hankyung.com/photo/201504/AA.9895230.1.jpg)
한국의 산업구조조정은 정부가 주도했다.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정부는 부실채권정리기금 설립과 관련법을 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별도의 ‘공적 부실채권 정리 전담기구’를 설치해 기업구조조정을 추진했다. 2001년에는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이 시행되면서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땐 자금 사정이 어려운 건설·조선업체를 대상으로 ‘대주단 협약제’가 각각 시행됐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사후적·인위적 구조조정은 부실기업 정리에 불과할 뿐 산업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평가가 많다. 정부에 의존하는 사업 재편의 효과도 낮을 수밖에 없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이후 46조원을 풀어 경기 부양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을 폈다.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세 차례에 걸쳐 0.75%포인트 인하하면서 경기 살리기에 부응했다. 하지만 여전히 기업들의 경영 여건은 좋지 않다. 상장회사 영업이익률은 5년 새 반 토막 났고 매출도 급감했다. 고비용 구조 고착화, 대립적 노사관계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엔화 약세로 경쟁력을 회복 중인 일본 기업, 셰일가스 혁신으로 재도약의 돌파구를 찾은 미국 기업들과 상반된 분위기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리 경제가 다시금 활력을 되찾고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저성장의 덫에 빠진 산업과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필수적이다. 사전적이고 자발적인 구조조정 통폐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다. 단, 구조조정의 주체는 더 이상 정부가 아닌 기업이 돼야 한다. 삼성과 한화 간 빅딜에 이은 제2의 빅딜, 제3의 빅딜이 계속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박상무 < 딜로이트안진 부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