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기준금리 인상 시점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는 29일 FOMC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고용시장이 더 개선되고 물가가 목표치인 2%로 움직인다는 합리적 확신을 가진 뒤에 기준금리를 올리겠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하지만 금리 인상 시점을 암시해주던 문구들은 이번 달 성명에서 모두 빠졌다.

지난달 FOMC 성명에는 "선제 안내의 변화가 목표금리 인상 시점의 결정을 뜻하지 않는다" 등의 문구가 포함됐다. 이번 성명에서 금리 인상 시점과 관련해 직접적인 언급이 없어져 금리 인상 시점이 불투명해졌다는 분석이 많다.

일단 '6월 인상론'은 시장에서 자취를 감출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경기가 금리를 인상할 만큼 확실한 회복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간 기준 0.2%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시장 기준치(1.0%)를 밑도는 수치로 '나홀로 성장'을 이어간 미국 경기 회복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Fed는 이날 '강한 호조'를 보인다고 판단했던 노동시장을 '완만하다'로, 가계 지출을 '완만한 증가'에서 '감소'로 변경해 경기 둔화를 인정했다. 달러화 강세와 저유가, 항만파업, 한파 등이 미국 경기 둔화에 영향을 줬다. JP모건의 마이클 페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경제지표가 실망스러워 사탕발림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늦어질 것이란 관측이 강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기 둔화가 (금리 인상과 관련한) 중앙은행의 계획을 헝클어놓았다"며 금리 인상 시점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일부에선 미국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지 않으면 올해 아예 금리 인상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