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억제하는 것은 물론 고속버스 서비스를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 담당자는 30일 "인건비와 차량유지비, 고속도로 통행료 상승 등을 이유로 업계의 운임요율 인상(3.22%) 건의가 있었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유가가 계속 내려 원가절감 요인이 있고 호남고속철 개통에 따른 경쟁 관계 등을 고려해 동결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일반고속버스는 올해 4월부터 세법 개정으로 부가가치세 10%를 면제받기 때문에 이 점 역시 요금 동결 요인으로 작용했다.
정기권 도입에 따른 할인, 일반고속버스에 청소년할인 추진 등을 통해 사실상 '요금 인하' 효과를 내도록 업계와 협의하고 있다.
지난 3월부터는 고속버스를 탈 때 승차권을 발권하지 않아도 모바일 티켓만 있으면 이용할 수 있도록 'E-PASS'(고속버스 다기능통합단말기) 서비스를 시작했다.
한편 시외버스 업계는 지금까지 국토부에 요금 인상 요청을 하지 않았다. 국토부는 시외버스 업계에도 지정좌석제와 왕복발권, 우등형 상품 도입 등 고속버스 수준의 서비스 개선을 통해 수요를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