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 조정을 위한 회의 횟수 축소를 검토하는 것에 전문가들도 공감한다. 회의 횟수보다는 내용이 중요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다만 금통위 회의 주기 변화는 한국은행 출범 65년 만의 일이어서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조동근 명지대 교수(경제학)는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금통위 회의 횟수를 1년에 열두 번에서 여덟 번으로 줄이는 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는 “횟수를 줄이면 금융 안정 등 다른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통화정책을 한 달에 한 번씩 결정하는 것이 다소 빈번하다고 느낄 때가 있다”며 “형식적인 회의에 노력을 기울이기보다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판단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은의 경기분석과 전망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국내총생산(GDP), 경제성장률 등과 같이 금리 결정에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지표를 참고하려면 금통위 회의 주기 조정도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조심스러운 분위기도 있다. 물가안정을 제1 목표로 삼는 한은이 매달 나오는 물가지표를 무시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를 크게 밑도는 만큼 매달 회의에서 물가를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의 횟수가 줄어들면 ‘금통위가 일을 안 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있다. 오석태 SG증권 상무는 “형식적인 회의라 할지라도 금통위는 자주 소통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