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구도 굳어지면 기회 없다"
파격상품으로 점유율 확대 노려
"年 가계통신비 4300억 절감 효과"
SK·LGU+도 새 요금제로 '맞불'
![KT는 7일 서울 광화문 KT올레스퀘어에서 ‘데이터 선택’ 요금제 출시 행사를 열었다. 월 2만원대 요금으로 음성과 문자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통신비 부담이 줄 전망이다. 정동헌 기자 dhchung@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505/AA.9929352.1.jpg)
KT의 반격
![](https://img.hankyung.com/photo/201505/AA.9931802.1.jpg)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최저 월 2만원대 부터 모든 구간에 걸쳐 통신사와 관계없이 음성 통화와 문자메시지를 무제한 제공하는 LTE요금제다. 월 5만9900원 이상 요금제에선 데이터도 무제한 쓸 수 있다. 단 일정 이용량을 넘어서면 데이터 속도가 느려진다. 데이터 남용을 막기 위해서다.
KT는 이와 함께 다음달 데이터를 최대 2기가바이트(GB)까지 당겨쓸 수 있는 ‘밀당’ 서비스도 도입했다. 통신 3사는 그간 이번 달에 다 쓰지 못한 데이터를 다음달에 이월해 쓰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데이터를 당겨쓰는 서비스를 내놓은 것은 KT가 처음이다. 예컨대 월 6GB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4만9900원짜리 요금제에 가입하면 최대 14GB까지 이용할 수 있다. 지난달에 이월한 6GB와 이번 달에 주어지는 6GB, 다음달에서 당긴 2GB를 합한 수치다. 결합 서비스도 강화했다. 월 4만9900원 이상 요금제에 가입하면 모바일TV 서비스인 올레tv(월 5000원)를 추가 요금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황창규 KT 회장](https://img.hankyung.com/photo/201505/AA.9931427.1.jpg)
남규택 KT 마케팅부문장(부사장)은 “데이터 선택 요금제 도입으로 1인당 월평균 3590원, KT LTE 가입자 1000만명 기준으로 연간 4304억원의 가계 통신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SKT·LG유플러스도 선보일 예정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데이터 중심의 새로운 요금제를 준비 중이다. SK텔레콤은 “월 2만원대에 음성통화를 무제한 제공하는 요금제 등 데이터 중심의 새 요금제 출시를 위해 정부와 협의해왔다”며 “요금제 인가를 받는 대로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도 다음주 비슷한 요금제를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데이터를 당겨쓰는 서비스를 도입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다. 박현진 KT 무선사업담당 상무는 “밀당 서비스는 KT가 특허를 출원했다”며 “경쟁사가 서비스 도입을 위해 시스템 등을 구축하는 데 4~5개월 정도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신사들이 잇달아 데이터 중심 요금제 도입에 나선 것은 구글 등 세계 정보기술(IT)업체들이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에 진출하는 등 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데 따른 선제 대응이란 분석도 나온다. 구글은 지난달 ‘프로젝트 파이’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발표하고 미국에서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월 20달러(2만1800원)에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를 무제한 제공하는 서비스다. 데이터는 1GB에 10달러(1만900원)로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 요금은 돌려준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