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데까지 간 '무책임 국회'] 계파 갈등에 당·청 긴장까지…새누리 '진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무원연금 처리 서두르다가 야당의 무리한 요구 수용"
![7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공무원연금개혁특별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조원진 간사(왼쪽)가 ‘공무원연금개혁 실무기구 국민연금개혁 관련 합의문’을 들고 얘기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505/AA.9930203.1.jpg)
이번 개정안 처리 무산을 놓고 지도부 책임론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공무원연금 개혁 합의안에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올리겠다는 내용을 덜컥 집어넣은 것 자체가 협상 전략의 실패”라며 “지금의 비판 여론을 어떻게 뛰어넘으려고 했던 건지 정말 궁금하다”고 말했다. 이어 “당 대표와 원내대표 등 투톱 지도부가 공무원연금 개혁을 서둘러 마무리하겠다는 생각에 최고위원회 등 당내 의견 수렴을 소홀히 한 게 부메랑이 된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비판의 목소리가 주로 친박계 의원들 사이에서 분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계파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6일 여야의 막판 협상 과정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와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친박 좌장 격인 서청원 의원 등이 지도부의 협상력 부재를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비박계 중심의 권력지형 재편에 불만을 갖고 있는 친박계가 지도부의 리더십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격의 기회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당·청 간 갈등도 재연되는 분위기다.
새누리당은 7일 공무원연금 개정안 처리 무산과 관련,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를 (국회 규칙의) 부칙으로라도 명기하지 않으면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처리할 수 없다고 끝까지 고집한 새정치연합의 주장은 공무원연금 개혁 의지를 의심케 한다”며 “공무원연금 개혁을 약속했던 문재인 대표의 발언이 허언이었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