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자금난을 겪고 있는 자회사 포스코플랜텍의 구조조정을 두고 딜레마에 빠졌다. 채권단과의 갈등 증폭을 무릅쓰고 포스코플랜텍 지원을 끊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기로에 섰다.

포스코는 지난달 말 손자회사 포스하이알에 대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데 이어 지난 6일에는 채권단을 찾아 포스코플랜텍의 자율협약 및 워크아웃 방안을 논의했다. 포스코플랜텍이 현재 금융권에 갚지 못하고 있는 대출 원리금은 총 595억원. 포스코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면서 금융권에는 비상이 걸렸다. 포스코의 지원 의지를 믿고 계열사에 자금을 대 준 채권단은 “대주주인 포스코가 더 적극적인 의지(자금 지원)를 보이라”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올해 재무적 성과 창출을 경영 목표로 내건 권오준 회장에게 포스코플랜텍은 아킬레스건이다. 지난해 2900억원 유상증자를 포함해 지금까지 포스코플랜텍 경영난 해소에 들인 돈만 약 5000억원에 달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지난해 유상증자를 할 때도 이사회에서 격론이 벌어져 임시이사회까지 연 끝에 가까스로 지원이 결정됐다”며 “회생 기미가 없는 회사에 또 돈을 쏟아부을 경우 배임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권 회장은 지난해 3월 취임하면서 “철 본연의 경쟁력을 되찾기 위해 철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매각 대상”이라고 밝히며 구조조정을 단행해 왔다. 포스코특수강, 시멘트 원료 회사인 포스화인, 유통부문 베트남플라자 마산백화점 등 매각으로 2조원 이상 현금을 확보했다.

최근에는 구조조정 강도가 더 세졌다. 부실 계열사에 대한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필요할 경우 청산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포스코의 지난해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포스코의 국내 계열사 46개 중 절반 이상인 29곳이 순손실을 냈다. 그중 포스코플랜텍이 2790억원, 비철금속 소재회사인 포스코엠텍이 1000억원의 적자를 냈다.

포스코플랜텍은 정준양 전 회장 시절 비자금 조성 혐의 등으로 최근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계열사로 4년 연속 대규모 적자를 내왔다. 현재 부채는 5304억원, 부채비율은 245.6%에 달한다.

포스코가 채권단과 합의하지 못해 부실 계열사가 부도를 내거나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포스코그룹 전체의 신용도와 평판 하락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비핵심, 비우량 계열사에 대한 포스코의 지원 의지가 사라지면 포스코를 믿고 계열사에 대출해 준 금융권은 대출금 조기 상환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정혁진 한국신용평가 수석애널리스트는 “포스코플랜텍 지원 가능성에 심각한 의문이 드는 증거가 발생하면 그룹사 신용등급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