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노출이 많아지고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피부암 및 광선각화증 환자가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구미 각국에 비해 피부암에 있어 안전지대로 알려져 있던 한국도 더 이상 안전하지만은 않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피부과학회(이사장 이준영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피부과 교수)가 5월 피부건강의 날을 맞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5년간 전체 피부암 실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악성 흑색종을 포함한 피부암 환자수는 2009년 10,980명에서 2013년 15,826명으로 44.1%나 증가, 한 해 평균 9.6%의 증가율을 보였다.

2013년 악성흑색종의 조유병률은 10만명당 7.4명, 악성흑색종을 제외한 기타 피부암(편평상피세포암, 기저세포암 등)의 조유병률은 10만명당 23.6명으로 나타났다.



악성흑색종을 포함한 신규 피부암 환자의 발생건수는 2010년 6,739건에서 2013 년 7,677건으로 4년간 약 938건(13.9%)이 증가해 연 평균 3%씩 증가했다. 2013년 악성흑색종의 조발생률은 10만명당 3.0건이었고 기타 피부암의 조발생률은 10만명당 12.0건이었다.

피부암 중 악성도가 가장 높은 악성흑색종의 경우에도 환자수가 꾸준히 늘어 2009년 2,819명에서 2013년 3,761명으로 33.4% 증가했다.

악성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 내는 멜라닌 세포의 악성화로 생기는 피부암으로, 뇌와 척수로의 전이는 주요 사망 원인이 된다.

가려움이나 통증 같은 자각 증상이 없이 평범한 검은 반점으로 보여 방치되기 쉽다. 검은 점이 새로 생긴다든지 이미 있었던 검은 점의 모양 크기 색조가 변하는 경우 또는 기존의 점과 인접하여 새로이 작은 점들이 생기는 경우가 나타나면 의심할 수 있으며 특히 손발에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악성흑색종 환자의 경우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2013년 기준으로 40대 환자 비율이 5.1%였으며 50대는 13.9% 60대는 24.8% 70대 이상이 37.4%를 차지했다.

연령대별 조유병률은 10대가 인구 10만명당 0.7명 20대가 1.2명 30대가 2.8명 40대 4.7명 50대 9.8명 60대 18.4명 70대 29.2명 80대 41.4명 순으로 연령대가 높아질 수록 증가했다.


장익경기자 ikjang@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장미인애 열애, 29禁 넘는 `한뼘 비키니` 화보‥"탱탱 가슴라인 보일락말락"
ㆍ오렌지 마말레이드 설현 `C컵+꿀벅지`로 여진구 잡는다 `아찔`
ㆍ로또 1등 37명, 한곳에서 구입한 사실 드러나.. 763억 어쩌나..
ㆍ택시 장영남, 과거 이혼 재혼 구설수로 힘들었던 사연 공개.."뭉클"
ㆍ임태훈, 故송지선 아나운서 스캔들 후 시즌 첫 1군 합류 `관심집중`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