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가격제한폭 확대에도 현행 신용정책 유지 계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투자증권은 20일 가격제한폭 확대에도 주요 증권사들은 현재의 신용 주식거래 구조에서 급격한 변화를 계획 중인 곳이 없다고 전했다.
한국거래소는 전날 가격제한폭 확대를 당초 목표했던 다음달 15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철호 연구원은 "시장에서 관심을 가지는 것은 대형주와 중소형주간의 변동성 격차 확대에 따른 비대칭적 영향 가능성"이라며 "가격제한폭 확대가 중소형주의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증권사도 신용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용관리와 관련해 조사한 결과 주요 증권사들은 신용정책에 큰 변화를 계획하고 있지 않았다"며 "다만 아직 최종 단계는 아니어서 위험 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될 경우, 증권사가 자율적으로 신용 주식거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고 했다. 반대매매시기를 단축하거나 담보유지비율을 차별적으로 적용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란 설명이다.
이 연구원은 "특히 최근 연일 하한가를 기록해 문제가 된 내츄럴엔도텍 사태에서도 특별한 문제를 겪지 않아 나름의 자신을 얻은 것같다"고 판단했다.
조사에 따르면 삼성증권은 반대매매기간 축소를 검토하고 있고, 현대증권은 반대매매 통지횟수를 늘릴 계획이다. 현대증권은 또 가격변동폭이 큰 종목은 신용 대상에 제외키로 했다. NH투자증권은 담보비율을 종목별로 차등화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한국거래소는 전날 가격제한폭 확대를 당초 목표했던 다음달 15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철호 연구원은 "시장에서 관심을 가지는 것은 대형주와 중소형주간의 변동성 격차 확대에 따른 비대칭적 영향 가능성"이라며 "가격제한폭 확대가 중소형주의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증권사도 신용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용관리와 관련해 조사한 결과 주요 증권사들은 신용정책에 큰 변화를 계획하고 있지 않았다"며 "다만 아직 최종 단계는 아니어서 위험 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될 경우, 증권사가 자율적으로 신용 주식거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고 했다. 반대매매시기를 단축하거나 담보유지비율을 차별적으로 적용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란 설명이다.
이 연구원은 "특히 최근 연일 하한가를 기록해 문제가 된 내츄럴엔도텍 사태에서도 특별한 문제를 겪지 않아 나름의 자신을 얻은 것같다"고 판단했다.
조사에 따르면 삼성증권은 반대매매기간 축소를 검토하고 있고, 현대증권은 반대매매 통지횟수를 늘릴 계획이다. 현대증권은 또 가격변동폭이 큰 종목은 신용 대상에 제외키로 했다. NH투자증권은 담보비율을 종목별로 차등화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